• 신경-근 접합부의 근세포막의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한 자가면역성 질환
• 일부 혹은 전체 근육의 비정상적인 위약과 피로가 특징적 증세
• 지속적 / 반복적인 힘 쓰는 업무 또는 일상업무의 후반에 위약이 심함.
• 휴식 시 근육 강도의 부분적 증가
• 10~65세 호발, 여성 20~30세 많이 발생 (남성의 3배), 노년기에 양성 발병률 동일함
• Anticholinesterase : 항아세틸콜린분해제에 의해 극적으로 근육강도 향상 됨.
참고자료
·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II, 제7판, 수문사(2012), 1341-1344
· 이광우. 신경과학, 제2판, 서울, 범문에듀케이션(2014)
· 최영철(2009). 신경근육접합의 구조와 신경면역학, Korean jounrnal of neuromuscular disorders, 45-50.
· 희귀난치성질환센터 헬프라인, 중증근무력증, http://helpline.nih.go.kr 희귀난치성질환 교육자료 # 44
· Kenneth W.Lindsay. 임상신경학, 이광우, EPUBLIC(2006), 674-683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