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사회에서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저출산, 고령화의 원인과 현황을 조사하고, 저출산, 고령화 현상이 미래 한국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지 예측하여 이에 대한 발전적인 가족복지정책을 제안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2.09.03
- 최종 저작일
- 2022.09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 한국의 저출산, 고령화 원인과 현황
(1) 저출산과 고령화 현황
(2) 우리나라 저출산과 고령화의 원인
2. 발전적인 가족복지정책 제안
3.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한국의 저출산, 고령화 원인과 현황
(1) 저출산과 고령화 현황
한국은 2021년 또한 사망자가 출생아보다 더 많아 인구가 5만7000여 명 감소하였다. 2년째 인구의 자연감소가 이어졌으며, 이는 출산율이 급격하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2021년의 여성 1인이 평생 낳는 출생아를 의미하는 합계출산율은 사상 최저인 0.81명으로 내려갔으며, 2021년에 태어난 신생아는 26만 명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는 매년 출산율이 감소하고 있으며, 일제강점기 때보다 출산율이 낮다는 연구결과가 있을 만큼 출산 절벽이라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전체 인구 중에서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라고 분류하고 있으며, 14% 이상이면 고령 사회, 그리고 20% 이상일 경우에는 초고령 사회라고 한다. 2000년에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었으며, 이 시기의 통계청에서는 고령사회와 초고령 사회가 각각 2022년과 2026년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참고 자료
권중돈, 『노인복지론』, 학지사, 2019.
윤민석, 『서울의 고령화 현황과 대응방안』, 세계와 도시 12호, 2016.
이문영 외, 『최근 한국의 출산율 현황에 관한 고찰』, 대한소아치과학회지 제32권 제2호, pp.300-305, 2005.
정수일 외, 『사회문제 측면에서 본 노인문제의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산업진흥연구 제1권 제2호, pp.109-119, 2016.
한겨레21, 『키오스크 앞에서 서성이는 노인들』, 2022.01.15.
(h21.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1487.html)
한국경제신문, 『최악의 저출산…'인구문제'도 결국 일자리로 풀어야』,
2022.02.23. (www.hankyung.com/opinion/article/2022022344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