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기도 질환
■ 상기도(upper respiratory disease, upper airway)
- 코안, 코곁굴, 인두, 후두 및 기관으로 구성
1) 코염(비염, rhinitis)
· 코점막의 염증으로 대개 점액과 코안 분비물로 인한 종창이 함께 나타나며, 코곁굴염(부비동염, 축농증)으로 악화될 수 있음
⑴ 알레르기성 코염(allergic rhinitis)
· 균에 의한 것은 아니며 항원이라 불리는 꽃가루(화분), 먼지, 식물이나 동물의 털 등에 의해 점마겡 일시적으로 일어나는 염증
· 건초열(hay fever)이라고도 함
· 일반적 증상: 콧속이 간질간질하고, 재채기를 계소갛게 되고 그 후 다량의 맑은 콧물이 나와 코가 막힘
2) 코곁굴염(부비동염, paranasal sinusitis)
· 머리뼈(두개골)에 있는 코곁굴: 이마굴(전두동),
위턱굴(상악동), 벌집굴(사골동), 나비굴(접형동)
· 코곁굴에 염증이 생겨 점막이 붓고, 염증성 분비물(농)이 고이게 된 상태
3) 편도염(tonsillitis)
· 편도(tonsil)에 염증이 생기는 것
· 목이 심하게 아프고 고열이 남
· 항체 생성이 가장 필요한 소아기 때는 편도의 왕성한 활동으로 크기가 증가함
· 사춘기를 전후해서 점차 저항력이 증가되면서 퇴화함
4) 후두암(laryngeal cancer)
· 후두에서 발생되는 악성 종양으로 거의 편평세포암임
· 전체 암의 약 1% 정도 차지
· 후두의 종양은 50~70대에서 빈도가 가장 높은 질환
· 만성 알코올중독과 심한 흡연이 암의 발생 위험률 높임
· 지속적으로 쉰 목소리가 나는 것이 첫 번째 신호임
2. 허파질환
■ 허파(lung)
· 공기 중의 산소와 체내의 이산화탄소를 교환하는 곳
· 오른허파는 3엽, 왼허파는 2엽으로 구성됨
■ 허파꽈리(폐포, alveolus)
· 표면에는 모세혈관이 분포하고 있어서 허파꽈리와 모세혈관 사이에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일어남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