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경국,『하이에크, 자유의 길 : 하이에크의 자유주의 사상 연구』, 한울, 2007.
· 박영숙 · 제롬글렌,『유엔미래보고서 2050』, 교보문고, 2016.
· 에스핑앤더슨,『복지 자본주의의 세 가지 세계』, 박시종(역),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7.
· James Ferguson,『분배정치의 시대』, 조문영(역), 여문 책, 2017.
· 김미란 · 이경훈, “노인의 AGING IN PLACE 증진을 위한 종합지원센터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34(5), 2018.
· 김용민, “신종감염병 대응체계 개선을 위한 공법적 고찰”, 법학논총, 제40권 제3호, 2020.
· 김유휘, “코로나19 위기와 독일 장기요양제도의 대응”, 국제사회보장리뷰, 2020.
· 김주경, “건강권의 헌법학적 내용과 그 실현”, 「법학연구」, 제23권 제4호, 2013.
· 노기현, “노인복지행정에 있어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의 구축에 관한 검토”,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 54(4), 2013.
· 박원규, “감염병예방법상 이동제한조치에 대한 법적 검토”, 경찰법연구 제18권 제2호, 2020.
· 손미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와 자본주의 모순의 심화”, 진보평론 제83호, 2020.
· 4차산업혁명위원회, “도시혁신 및 미래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스마트시티 추진전략”, 2018.
· 오영인, “한국형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올바른 추진 방향을 위한 비판적 시각”, 의료정책포럼 17(1), 2019.
· 정종구 · 손정구, “코로나19 동선공개에 대한 법적 고찰: 개인정보 및 사생활 침해의 문제를 중심으로”, 법학논고 제70집, 2020.
· 채민석, “영국의 코로나19 대응”, 한국노동연구원, 국제노동브리프, 2020.
· 최종권,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한 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 스마트도시법 및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를 중심으로” , 중앙법학 제20집 제3호, 2018.
· 홍일선, “고령사회를 대비한 헌법적 논의: 국가의 노인보호의무와 노인의 사회적 기본권을 중심으로”, 공법학연구 9(2), 2008.
· 황정훈, “분배의 정의 실현수단으로써 공공부조수급권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8.
· , “영국 구빈법상 구조를 받을 권리(right to relief)의 형성에 관한 고찰”, 한국법학회 법학연구 제18권 제1호, 2018.
· , “고령사회에서 노인의 자기개발권 실현에 관한 연구”, 법이론실무연구 제7권 제1호, 2019.
· , “하이에크의 이론에 입각한 상대적 빈곤해소에 관한 법적 연구”, 한국법학회 법학연구 제19권 제1호, 2019.
·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돌봄관리의 권리에 관한 법적 고찰”, 법이론실무연구 제7권 제2호, 2019.
· , “스마트도시법에 기초한 스마트 공유도시 복지공동체 구축에 관한 담론”, 한국법학회 법학연구 제19권 제4호, 2019.
· , “신탁제도를 활용한 지역사회 통합 돌봄에 관한 소고”, 법이론실무연구 제7권 제4호, 2019.
· , “공유도시에서 공공서비스 접근 기회에 대한 기본권 차원에서의 보장에 대한 소고”, 법이론실무연구 제8권 제1호, 2020.
· Bajardi, Paolo, et al. “Human mobility networks, travel restrictions, and the global spread of 2009. H1N1 pandemic.” PloS one, vol. 6 no. 1, 2011.
· Department Of Communicable Disease Survaillance and response, “Consensus Document on the Epidemiology of SARS”,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
· Engels, Infektionsschutzrecht als Gefahrenabwehrrecht?, DÖV 2014, 464 ff.
· Erdle, Infektionsschutzgesetz. Kommentar, 5. Aufl., 2016.
· Gilmore, Norbert, et al. “International travel and AIDS.”, Aids, vol. 3 no. 1, 1989.
· Person, Bobbie et al, “Fear and stigma: the epidemic within the SARS outbreak,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vol. 10 no. 2, 2004.
· Sivan Kohn, Daniel J. Barnett, Costanza Galastri, Natalie L. Semon, and Jonathan M. Links, “Public Health-Specific national Incident Management Trainings: Building a System for Preparedness”, Public Health Reports, Vol.125, 2015.
· 沼尾波子,『地域包括ケアシステム構築と行政の役割』, 産業経営プロジェクト報告書35巻2号, 2012.
· 畑本裕介,『社会福祉行政のこれから-<社会保険>化と行政空間の変容』, 人間福祉学部紀 要(山梨県立大学)7号, 2012.
· 寺本 惠, “後見制度支援信託の槪要”, 登記情報, 第604號, 民事法情報センタ-, 2012.
· G・エスピン・アンデルセン, 渡辺雅男・渡辺景子訳,『ポスと工業経済の社会的基礎―市場・ 福祉国家・家族の政治経済学』, 桜井書店,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