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솔직히 고백하자면, 필자는 전교 1등과 전교 꼴찌(57명 중 57등)를 모두 경험했다. 그렇기에 교생실습 기간, 4주 동안 고등학교로 출근하면서 공부 잘 하며 인정받는 우등생들보다는, 소외되고 학업부진 상태에 있는 학생들에게 더 관심이 갔다. 학교라는 시스템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배우는 과정에서 여러 상황과 현상들을 목격했고, 이를 사회학적인 관점으로 해석해 보고자 한다. 교육실습을 하는 학기에 교육사회학을 수강하면서 학교라는 장소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었다. 그 점에 먼저 감사하다.
교육사회학 수업 시간, 김OO 교수님께서 ‘능력주의’가 무엇이냐는 질문을 던진 적이 있다. 필자는 그때 손을 들고, ‘더 뛰어난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더 많은 몫을 가져가고, 반대로 능력이 부족하거나 미숙한 사람들이 더 적은 몫을 가져가는 것’이라는 식으로 대답을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런데 교수님께서 한국이 ‘능력주의 사회’냐고 학생들에게 질문했고, 필자는 고민했다. 대한민국은 과연 능력주의 사회인가.
교육사회학을 수강하기 전, 필자는 대한민국이 철저한 능력주의 사회라고 생각했다. ‘정유라 혹은 조민’과 같은 사건이 국민들의 울분을 샀던 것도 ‘공정하지 못해서’였고, 공정하지 못한 것을 도저히 참지 못하는 기저에 도사린 것이 바로 ‘경쟁이 공정할 것’이라는 국민들의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이다. 상위 1%. 개천의 용. 개인이 노력을 통해 공정한 경쟁에서 앞서나가 얻어낸 성취는 ‘피와 땀’이라는 표현이 따라붙는 값진 노력의 결과물로 인정받고 사람들로 하여금 누구든 열심히 노력해서 능력을 쌓는다면 성공할 수 있을 거라는 꿈을 가지게 한다.
참고 자료
C. 라이트 밀즈(2004), 사회학적 상상력 (이해찬 역), 돌베개
강수돌, 김용, 남미자 외 2명(2021), 자본과 국가 권력을 넘어 교육자치의 새 길을 찾다, 학이시습
교육트렌드2022 집필팀(2021), 대한민국 교육트렌드 2022 : 한국 교육을 움직이는 20가지 키워드, 에듀니티
권재원(2015), 그 많은 똑똑한 아이들은 어디로 갔을까?, 지식프레임
권재원(2016), 쓸모 있는 인문 수업 사회학, 이룸북
박현준(2021), 세대 간 사회이동의 변화 : 한국사회 얼마나 개방적으로 변화하였는가?, 박영스토리
변수용, 이성균(2021),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자녀의 교육 결과 : 한국에서 교육불평등은 심화 되었는가?, 박영스토리
엄훈(2012), 학교 속의 문맹자들 : 학교 공교육의 불편한 진실, 우리교육
이상오(2020), 교육학개론, 형설출판사
조영태, 서은국, 외 5명(2019), 아이가 사라지는 세상 : 출산율 제로 시대를 바라보는 7가지 새로운 시선, 김영사
한병철(2012), 피로사회, 문학과지성사
홍성민(2012), 취향의 정치학 : 피에르 부르디외의 『구별짓기』 읽기와 쓰기, 현암사
이관후. (2018. 11. 20.). 시험은 공정하지도 정의롭지도 않다, 한겨레신문,
EBS Documentary. (2017. 6. 20.). EBS 다큐프라임 - Docuprime_'대학 입시의 진실' 5부- 교육
불평등 연대기_#002. [비디오 파일]. https://youtu.be/tEFPzVgUC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