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이럭 클럽 the joy luck club을 읽고 작성한 토론 주제 설문과 답변 short response paper A+"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18.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Said)는 자신의 저서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에서 오리엔탈리즘이란 동서양이라는 이분법적 사고에 근거하여 일방적으로 서양이 동양에 덧씌운 왜곡되고 고정된 인식과 태도, 즉 구체적 실체라기보다는 상상력의 소산으로 정의하였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The Joy Luck Club은 크게 ‘오리엔탈리즘의 담론에 부합’하는 소설이라는 시각과 ‘오리엔탈리즘에 저항’하는 소설이라는 상반된 두 해석이 존재합니다. 즉 전자의 경우는 이 소설이 중국 사회나 문화는 지나치게 부정적으로 묘사한 반면 미국 이민 생활은 비교적 합리적이고 바람직하게 그려내어 서양인의 입맛에 맞는 동양의 이미지를 강화했다는 주장이고, 후자의 경우는 네 모녀가 처한 복합적이고 개별적인 차이를 드러내어 아시아계 미국인을 고정된 이미지로 정형화해온 서구 소설 전통에 저항하고 주류 언어와 문화의 거센 물결 속에서도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려는 주체적 태도를 부각시킨다는 주장입니다. 책을 다 읽고 난 현재 시점에서 여러분은 두 해석 중 어느 것에 더 동의하나요? 왜 그렇게 생각하나요?
오리엔탈리즘의 담론에 부합한다는 말과 오리엔탈리즘에 저항한다는 두 가지의 입장 모두가 이 소설을 완벽히 정의내리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제 생각이 어느쪽에 더 가까운지를 생각해보면 아마도 오리엔탈리즘에 저항하는 쪽 인 것 같습니다. 이 소설은 오리엔탈리즘을 그대로 보여주거나 혹은 너희가 생각하는 그 오리엔탈리즘은 틀렸어 라는 메세지를 전달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딸들이 중국적인 속성을 부정하는 것은 그들이 미국에서 나고 자라 자신들에게 낯선 것이기 때문이지 소설 전체에서 중국적인 속성이 나쁜 것이라는 암시를 하지는 않습니다. 이 소설은 그저 이민자들과 그들의 자녀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 나가는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자아의 혼란과 주변인들과의 갈등을 세세하게 풀어낸 소설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