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치준승22권, 유방, 팔신래복단, 육군자탕, 이중화담환, 귤피탕, 길경탕, 비파엽산, 선복화산, 화연산, 진사화담환, 반하이격환, 파담소음환, 화담철쇄환, 침향타담환, 복령환, 신선추담환, 수음환, 파음환, 팔진환, 아리전환, 사향단사환, 금주화담환, 조각화담환, 법제청기화담환, 비담단, 법제반하, 신궁도수환, 주거신우환,.hwp
- 최초 등록일
- 2022.08.22
- 최종 저작일
- 2022.08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목차
없음
본문내용
八神來復丹(《濟生》)
팔신내복단 제생방
硝石(一兩, 同硫黃爲末, 磁器內以微火炒, 用柳篦攪, 不可火太過, 恐傷藥力, 再研極細, 名二氣末) 太陽玄精石(飛研, 一兩) 五靈脂(水澄清, 濾去砂石, 晒乾) 青皮(去白) 陳皮(去白, 各二兩)舶上硫黃(透明) 沈香 木香(堅實者) 天南星(粉白者。各一兩)
초석 40g을 유황과 같이 가루내어 자기안에 약한 불로 볶고 버드 나무 빗을 써서 섞고 불을 너무 세게 해서 약력을 손상될까 염려되니 재차 지극히 곱게 갈아 이기말이라고 이름한다, 수비해 간 태양현정석 40g, 맑은 물로 여과해 돌과 모래를 제거하고 햇볕에 건조한 오령지, 백질 제거한 청피, 백질 제거한 진피 80g, 투명한 수입해온 유황, 침향, 단단하고 실한 목향, 백색 가루낸 천남성 각 40g
右爲末, 飛麪糊丸, 如梧桐子大。
위 약제를 가루내어 면으로 풀로 오동나무 씨 크기로 환을 만든다.
每服三十丸, 空心米飲送下。
매번 30환을 빈속에 미음으로 연하한다.
八味丸(見虛勞。)
팔미환 허로에서 나타난다.
六君子湯
육군자탕
人參 白朮 茯苓 陳皮 製半夏(各一錢) 炙甘草(五分)
인삼, 백출, 복령, 진피, 법제한 반하 각 4g, 자감초 2g
水二盞, 薑五片, 煎至一鍾, 去滓, 不拘時溫服。
물 2잔을 생강 5조각을 1종지가 되게 달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시기에 구애받지 않고 온난하게 복용한다.
理中化痰丸
이중화담환
治脾胃虛寒, 痰涎內停, 嘔吐少食, 或大便不實, 飲食難化, 咳唾痰涎。
이중화담환은 비위의 허한, 담연의 내부 정체, 구토로 음식을 적게 먹음, 혹은 대변이 실하지 않음, 음식 소화가 어려움, 기침에 담연을 뱉음을 치료한다.
此屬中氣虛弱, 不能統涎歸源也。
이는 중기의 허약에 속하니 담연을 통솔해 근원에 돌아가지 못해서이다.
人參 白朮(炒) 乾薑 甘草(炙) 茯苓 半夏(薑製)
인삼, 볶은 백출, 건강, 자감초, 복령, 생강에 법제한 반하
右爲末, 水丸桐子大。
위 약제를 가루내어 물로 오동나무 씨 크기로 환을 만든다.
每服四五十丸, 白湯下。
참고 자료
흠정사고전서 자부 오 의가류 36, 대성문화사, 증치준승, 명나라 왕긍당 편찬, 페이지 135-143
www.imagediet.co.kr
www.upaper.net/homeosta
www.steemit.com/@imagediet
https://www.youtube.com/user/homeost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