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 근위축성측삭경화증(루게릭병) CASE STUDY (A+자료, 매우 상세)
- 최초 등록일
- 2022.08.21
- 최종 저작일
- 2022.04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성인간호학실습으로작성한 루게릭병 CASE 입니다.
진단부터 간호과정까지 상세하게 작성하였습니다.
A+ 받은 자료이고 교수님께 칭찬받고 피드백까지 다 반영한 자료입니다.
과제에 잘 활용하시길 바랄게요!
목차
1. 문헌고찰
2. 사례보고서
3. 참고문헌
본문내용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근위축성측삭경화증)은 평균 생존기간이 3~5년밖에 되지 않는 진행속도가 매우 빠른 신경계 퇴행성 질환으로서 상 하지의 근력약화를 보이다가 결국 호흡기능 마비로 인해 사망하는 질환이다. 이 질환으로 사망한 유명한 야구선수의 이름을 붙여 루게릭(Lou Gehrig)병이라고 한다.
1. 정의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근위축성측삭경화증)은 평균 생존기간이 3~5년밖에 되지 않는 진행속도가 매우 빠른 신경계 퇴행성 질환으로서 상 하지의 근력약화를 보이다가 결국 호흡기능 마비로 인해 사망하는 질환이다. 이 질환으로 사망한 유명한 야구선수의 이름을 붙여 루게릭(Lou Gehrig)병이라고 한다. 초기에 침범되는 부위에 따라 뇌간의 운동신경원 손상으로 구음장애, 연하장애, 혀근육 위축, 안면근 마비 등이 특징적인 연수형과 척수의 운동신경원 손상으로 손발의 근력약화, 근육 위축, 근육부분수축 등의 증상이 특징적인 사지형으로 구분되며, 사지형이 연수형에 비해 2.1~3.4배 정도 더 많다고 알려져 있다.
3. 병태생리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은 진행성 퇴행성 질환으로서 하위운동신경원인 척추전각, 뇌간의 운동핵과 대뇌피질의 상위운동신경원에 영향을 미친다. 운동신경원이 죽으면 축삭퇴행, 탈수초, 신경교 분화 등이 피질척수로를 따라 나타난다. 초기 단계에는 운동신경원이 이환된 근섬유에 신경재생을 위해 새로운 가지를 형성하여 근력이 보존되지만 하위 운동신경원이 절반 이상이 이환되면 근력의 약화가 나타나며, 결국에는 호흡근의 약화와 마비로 사망한다. 이 질병은 수초탈락 및 흉터조직 형성으로 상부 및 하부 운동신경원의 점진적인 퇴행을 가져온다. 운동신경 전달체계를 점차적으로 파괴하지만, 감각기능과 정신상태는 침범하지 않는다.
참고 자료
허현숙 외. (2013).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환자의 삶의 질. 재활간호학회지 제16권 제2호.
이윤경 외. (2008). 근위축성측삭경화증 환자의 적응과정. 근관절건강학회지 제15권 제2호.
강성례. (2008).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환자의 투병경험. 대한간호학회지 제38권 제6호.
이윤경 외. (2006). 근위축성측삭경화증 환자의 신체적 기능 상태. 류마티스건강학회지 제13권 제2호.
윤은자 외. (2019). 성인간호학 Ⅱ, 1230-1231p. 수문사.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메디컬 다큐 7요일 – 루게릭병
유튜브 – 삐루빼로 루게릭 환자의 일상 이야기
https://www.youtube.com/c/%EC%82%90%EB%A3%A8%EB%B9%BC%EB%A1%9Cbbir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