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식환자간호(임상 컨퍼런스용으로 만들었습니다, 간호학과 학생분들에게 도움이 될듯합니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장기이식 대상자 관리]
2. 역사적 관점
3. 장기공여에서 간호사의 역할
4. 장기회복
5. 수혜자 준비
6. 이식 후 대상자 관리
7. [수술 전 간호]
8. [간호 및 준비]
9. [간호 및 준비]
10. [합병증]
1) 이식거부반응
본문내용
[장기이식 대상자 관리]
신장이식에서부터 시작되어 현재 다양한 장기이식으로까지 발달
장기이식은 장기가 비가역적인 질환에 거리거나 손상 받았을 때, 말기장기부전상태 일 때 필요
이식은 희망이 없다고 판정 받은 말기장기부전 대상자들이 더 오래 살 수 있는 기회를 제공
간호사는 잠재적인 장기이식 공여자를 확인하고 공여자 유지기간 동안 이들 관리에 핵심적 역할
역사적 관점
17세기 수혈이 그 시초, 현대적 이식은 18세기 John Hunter에 의한 치아이식에서 비롯 되었다. 1912년 Alexis Carrel 은 외과적 봉합과 혈관문합기술을 발전시켜 장기이식의 장을 열었다. 이후 면역과 ABO와 Rh 혈액적합성에 중점을 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오늘날 장기이식에 결정적인 조직적합성 실험에도 발전이 있었다. 19433년 Medawar는 급성거부반응에 대해 기술했고, 1970년에 이르러 급성거부반응과 공여자와 수혜자의 조직적합성의 관계를 인식하게 되었다. 1900년대 초 많은 신장이식이 시도되었지만, 1954년에 Marrell과 Murray가 최초로 일란성 쌍생아 사이에서 성공적인 신장이식을 이루어냈다. 실험적인 심장이식이 1900년대 초에 시도되었고, hardy는 1964년에 침팬지의 심장을 68세의 남자에게 이식하였다(이종이식, Xenograft). 1967년에 Barnard는 처음으로 인간 사이의 심장이식을 시도했고, 최초의 폐 이식은 1963년에 Hardy에 의해 이루어 졌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