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 실습 조현병 케이스 A+ 간호진단 9개 간호과정2개 (영양불균형, 목욕자기돌봄결핍)
- 최초 등록일
- 2022.08.16
- 최종 저작일
- 2020.07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6,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목차
1. 정신간호사정
1) 일반적 정보
2) 정신병력
3) 병인론
4) 과거력
5) 발달력
6) 현재상태
7) 가족력
2. 자료분석
1) 의학진단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본문내용
(2) 정신병력
① 입원당시 주 증상은?
환청, 망상(피해망상, 관계망상), 식사거부, 수면장애
② 촉발 사건은?
취업 준비생인 대상자는 또래 친구들에 비해 성적도 낮고, 뒤쳐지는 것 같은 느낌을 받으면서, 취업에 대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던 도중, 최근에 어릴 때 자신을 버린 아버지가 나타나 돈을 요구하면서, 아버지에 대한 원망감과 더불어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음.
③ 발병 시기는?
약 8개월 전부터
④ 발병 기간은?
8개월 전부터 ~ 현재까지
⑤ 진행 과정
원래 대인관계도 원활하고 외향적이였던 대상자는 취업스트레스와 아버지에 대한 원망감으로 인해 많은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망상과 환각이 심해지기 시작함.
(3) 병인론 (정신질환의 유인, 소인에 대한 서술)
ㄱ. 정의 : 조현병(정신분열병)은 사고, 감정, 지각, 행동의 장애로 증상을 경험하는 사람에게는 질병으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는 뇌 질환으로, 일반 인구의 약 1%에서 발생하고, 남성과 여성의 유병률은 같다. 최근 약물 요법을 포함한 치료적 접근에 뚜렷한 진보가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에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한 질환이다. 정신분열병은 종종 소모성 증상과 함께 양성, 음성, 인지 혹은 우울 증상이 나타난다.
ㄴ. 원인 : 조현병은 생물학적 소인이나 취약성과 환경적 스트레스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한다고 여겨진다.
(1) 생물학적 요인
① 신경화학적 요인
- 최근 뇌영상기법의 발달로 조현병 환자의 뇌는 일반인의 뇌와 비교하여 구조와 신경화학적 활동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 도파민 이론 ( 활성화된 도파민 과다, 도파민 생성 증가, 수용체 민감성증가 등 조현병이 발현 될 수 있으나 도파민은 조현병 증상과는 관계가 있지 않다고 한다.)
참고 자료
널싱스킬 : 정신증과 조현병
서울 아산병원
약학정보원
정신간호학 현문사
난다 간호진단 2018~2020
메슬로우 욕구 5단계
정신간호학 조현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