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우리나라 사회보장제도의 안전망구조를 제시하고(공공부조, 사회보험 포함), 정부의 공공부조와 무상지원이 한국사회의 빈부격차를 줄이는 정책으로 적절한지에 대해 찬반 자신의 의견을 상술하였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우리나라 사회보장제도의 안정망 구조 제시
2. 공공부조와 무상지원이 한국사회 빈부격차를 줄이는 정책으로 적절한지 여부에 대한 견해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많은 외국인들이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느끼는 점을 얘기할 때 손에 꼽는 장점으로 치안과 안전을 들고 있다. 특히 영미권에 속한 국민들은 개인주의, 즉 개인의 책임을 강조한 사회이기에 더욱 와 닿을 것이다. 전쟁을 겪은 한국사회는 그동안 외국의 원조에 의지하여 의식주를 연명하기에도 버거웠으나 폭발적인 경제성장과 더불어 IMF 경제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의 시기를 지나며 수많은 실업자가 양산됨으로써 국가의 돌봄이 절실해졌고 여러 가지 시행착오를 겪은 결과, 현재와 같은 경제적 안전망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보통 안전망하면 2단계 내지 3단계를 의미하고 국가적 보험과 취약계층을 위한 공공부조를 아울러 말한다. 거기에다 긴급구조 제도까지 갖추면 어느 정도 모양새가 만들어졌다고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김상진, “자영업자의 국민연금 기여회피 결정요인”, 강남대, 2008
전국대학사회복지교육협의회, “사회복지개론”, 유풍출판사, 2002
최정섭, “사회복지법제론”, 법문사, 2011
정진용, “국민연금의 구조변화와 사회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 2007
남기민, “사회복지정책론”, 학지사, 2011
김자경, “민간 지역사회복지 안전망으로서 교회의 역할 연구”, 총신대, 2014
정진용, “국민연금의 구조변화와 사회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 2014
노대명, “해외사례를 통해 본 복지정책 방안”, 감사원, 2013
김혜경외, “가족복지론”, 공동체, 2006
김대현, “저출산·고령화, 사회 양극화 문제 등에 효과적인 대책 논의”, 2012
최항섭, “한국사회의 미래와 미래전략처의 필요성”, 한국정책학회, 2012
이대창외, “사회경제적 양극화 해소방안”,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