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Ⅱ. 조선업 현황
1. 조선 산업의 특징- 건조 공정
2. 조선 산업과 타 산업과의 특징 비교
3. 세계 조선산업 동향
Ⅲ. 조선산업 원가 구성 요소
1. 조선선산업의 원가관리
2. 조선산업의 원가 구성
Ⅳ. 대한민국 조선산업 영업 손실 원인 분석
1. 조선업 수주증가 대비 영업손실 발생
2. 재료비
3. 노무비
Ⅴ. 조선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스마트 야드
1. 스마트 야드
2. 해외 경쟁국의 사례
3. 국내 스마트 야드 구축을 통한 경쟁력 강화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조선 산업의 수퍼사이클이 끝난 2010년 대 초반부터, 중소형 조선소는 여러 가지 이유로 대부분 쇠락을 길을 갔지만, 국내의 빅 3 대형 조선소는 유가의 고공행진과 더불어 시작된 해양플랜트 호항으로 어려움을 겪지 않고 몸집을 거의 2배로 늘려가며 승승장구 했다. 그러나 투기에 가까운 과도한 해양 투자 설비 물량이 쏟아지던 2010년대 중반, 영원히 고공행진을 할 것 같았던 유가가 세계 경기의 침체 및 미국의 셰일 혁명과 에너지 정책 변경 등의 영향으로 폭락하자, 어려움을 겪고 있던 조선소에 재앙이 되었다.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하던 조선 3사(Big 3)는 해양 플랜트 분양에서 천문학적인 손실을 보며 추락하였고, 저유가 기조 및 세계적인 친환경 에너지의 전환으로 해양플랜트 시장의 발주는 완전히 사라졌고, 더불어 세계 경기 침체의 장기화 및 COVID-19 등으로 세계 물동량의 감소로 조선 산업의 회복이 늦어지고 있다.
현재는 IT 및 4차 산업시대로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전통적인 제조업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고 조선업은 사양산업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대규모의 설비와 함께 대규모 노동력이 동원되어야 운영이 가능한 업종으로 유럽에서는 상선(탱커, LNG, 컨테인선 등)에서 주력선종을 변경하였고, 경쟁력이 떨어지는 조선소는 통폐합 또는 도산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수요 및 시장 측면에서 선박의 수요나 시장 자체는 유지될 가능성이 있다. 항공과 철도 모두 선박 대비 운송단위가 너무 작고, 특히 육로 운송은 주요 루트마다 효율성 있는 운송 인프라(도로, 철도)를 확충해야 하는 막대한 비용 문제로 진행이 어렵다. 철도는 한 번에 최대 컨테이너 60개를 운송할 수 있고 비행기는 중량 기준 3개 정도만 수송이 가능한 반면, 컨테이너 선박은 한 번에 최대 2만 4천 개의 컨테이너를 운송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비행기나 철도, 트럭 그리고 파이프라인 등이 선박을 대체하기에는 경쟁력이 부족하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