神應丸(《元戎》)
신응환 의루원융
治傷一切冷物潼乳, 腹痛腸鳴飱泄。
*饗의 원문은 飱(저녁밥 손; ⾷-총13획; sūn)이다
(許學士云:此方得之王景長之家, 近世名醫多用, 卽知此方乃古方也, 惟此爲眞, 《局方》高殿前家亦非也。本方雖云秘者能下, 泄者能止, 用之少效, 予反覆本草味藥性, 但言巴豆得火者良, 予改法爲神應丸。)
*反覆1.重复再三;翻来覆去。2.变化无常。3.翻转,颠倒。4.倾覆;倾动。5.动荡,动乱。6.来回;往返。7.再三考虑;再三研究。8.指反覆诗。9.修辞格之一。用同一语句,反复申说,以表现强烈情感的修辞手法。10.重迭。
학사 허숙미가 말하길 이 처방은 왕경장의 집에서 얻어서 근세 명의가 많이 사용하여 이 처방이 고방임을 아니 유독 이것이 진짜로 화제국방의 고전 전가도 또 아니다. 본 처방은 비록 변비에는 사하하며, 설사는 멎게 하나, 사용함에 효과가 적어 내가 본초 약성을 반복해서 연구하니 단지 파두는 불을 얻으면 좋다고 하니 내가 방법을 바꾸어 신응환을 만들었다.
木香(一錢) 丁香(別研) 乾薑(炮) 百草霜(研細, 各半兩, 已上四味, 爲末和勻) 杏仁(半兩)巴豆(半兩, 炒去油盡, 微存性) 蠟(二兩, 醋煮去垢, 先備下)
목향 4g, 따로 간 정향, 구운 건강, 곱게 간 20g 백초상(이상 4약미는 가루내어 고르게 섞는다), 행인 20g, 볶아 기름을 다 제거하고 약간 약성 보존한 파두 20g, 식초로 달여 때를 제거하고 먼저 준비한 밀랍 80g
참고자료
· 흠정사고전서 자부 오 의가류 36, 대성문화사, 증치준승, 명나라 왕긍당 편찬, 페이지 40-42
· www.imagediet.co.kr
· www.upaper.net/homeosta
· www.steemit.com/@imagediet
· https://www.youtube.com/user/homeosta1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