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_보건교육기획안_관절염_a+
졸업이라니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_보건교육기획안_관절염_a+"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I. 주제설정 취지 3pII. 대상자 실태조사 4p
ⅰ. 교육대상자 집단의 일반적 실태
ⅱ. 보건교육 주제에 대한 일반적 실태
ⅲ. 분석 및 대책
III. 교수-학습 과정안 5p
Ⅳ. 부록 8P
Ⅴ. 참고문헌 9P
본문내용
Ⅰ. 주제 설정 취지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골관절염의 유병률은 50세 이상에서 12.5%(남 5.1%, 여 18.9%), 60세 이상은 19.4%이며 류마티스 관절염의 유병률은 30대 남성 0.2%, 여성 0.4%, 60세 이상 남성 약 3.7%, 여성 약 9.1%로서 연령이 증가하면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관절염은 노인인구 증가에 따라 2020년 30.0%로 예측되며, 향후 더욱 증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 65세 이상 노인인구 8.3%(2013) → 23.1%(2030)) 이러한 통계결과가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질환 인식률에 비해 치료를 받는 사람의 수는 적은 것으로 나타난다.
관절염으로 인한 간접 의료비용 증가 또한 경제적 부담의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그 원인으로는 환자 본인의 경제적 활동제한 증가, 환자 간병으로 인한 가족구성원 소득손실 증가, 조기 사망으로 인한 소득 손실, 그리고 사회적 비용의 증가 등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연간 우리나라 만성질환 의료비 중 약 4조원 관절염 관련 의료비용, 평균 1인당 의료비용= 약 230만원으로 만성질환 중 1위)
특히, 퇴행성관절염 환자들은 정상인에 비하여 직업적 제한이 훨씬 클 뿐만 아니라(64.4% : 14.3%) 퇴행성관절염으로 인하여 실직하는 경우도 21.6%나 되어, 퇴행성관절염이 사회·경제적 부담에 크게 영향을 미침을 무시할 수는 없다.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은 말초관절의 파괴로 인한 심각한 장애가 발생하여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의 어려움이 동반되며, 관절의 변형으로 인하여 사회적 활동에 심각한 장애가 발생한다.
현재 실습 중인 소로보건지소 인근 마을의 주민들을 사정해본 결과 고혈압, 당뇨 등 다른 만성질환에 의한 문제보다는 관절의 통증, 뻐근함 등을 호소하시는 분들이 많은 상황이다. 건강한 생활 실천으로 관절염 증가를 억제시키고 관절염 환자들에 대한 적절한 개입으로 장애와 합병증을 최소화하여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관절튼튼! 마음 든든!!’을 보건교육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다.
참고 자료
통계청 인구 총 조사 (2018)보건복지부 전국 노인실태조사 (2017)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2013)
양순옥, 권명순, 최용준, & 이승희. (2011). 보건소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관절염 사례 관리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2(2), 151-161.
황윤태, 황경옥. (2006). 슬관절염 환자의 능동신장과 등척성 운동이 관절 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8(2), 35-45.
조성우, 강연경.(2010). 퇴행성 슬관절염의 보존적 치료의 최신 연구 –2000~2009년 발표된 임상논문을 중심으로.동의생리병리학회지,24(6),1117-1128.
지용석, 변재종, 김만겸. (2000).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여성에 있어 12주 운동프로그램 적 용 후 근기능과 신체조성 및 통증정도의 변화.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3, 377-392
최선하. (2001). 관절염 대상자를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보건진료소를 중심으로--. Community Nursing, 12(2).
박지은.(2017). 균형운동을 동반한 하지 근력강화운동이 슬관절골관절염 환자의 하지 기능 수준과 통증, 관절가동범위, 근력, 균형 수준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 전
이중철, 박기덕. (2013). 노인의 퇴행성 무릎관절염을 위한 재활운동에 관한 고찰. 한국발 육발달학회지, 21(3), 171~183.
우경지, 오경원. (2015). 우리나라 50세 이상 성인에서의 골관절염 유병률(2010-2013). 질 병관리본부 '주간 건강과 질병', 8(4), 82-84.
대한슬관절학회. (2011). 슬관절학회와 함께하는 퇴행성 관절염 가이드북.
최선하. (2001). 관절염 대상자를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보건진료소를 중심으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2(2), 344-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