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목
사회정서프로그램을 통한 초,중,고 학습자별 사회정서역량인 자기인식, 자기조절, 사회적 인식,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2. 연구목적
청소년기에는 학문적 기초소양의 학습과 다양한 인간관계를 통해 긍정적인 자아개념 확립 등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발달이 요구된다. 그러나 학교 교육에서 학생들의 학업 성취나 학업 발달과 같이 인지적 측면에서의 기능은 꾸준히 강조되나 정서적인 측면이나 정신건강에 대한 고려가 상대적으로 소홀하다. 그러나 학생에 대한 다양한 문제가 대두되면서 학생의 정서적인 측면이나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감정 표현이나 조절, 건강한 마음, 회복탄력성과 같은 사회정서학습에서 주요한 이슈들을 기반으로 교육과정의 연계가 필요하며, 정서가 신체와 밀접힌 영향을 기반으로 정서적 측면과 정신건강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새로운 방향으로의 접근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학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학생 정서와 행동 문제에 대해 사회정서학습은 효과적인 중재가 될 수 있다는 인식을 기반으로 학교 교육 현장에서 새로운 교육적 방법이자 대안으로의 적용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자료
· 이승현,& 이승호. (2019). 마음챙김 기반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역량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인문사회 21, 10(6), 379-394.
· http://www.riss.kr/link?id=A106487873
· 임진희,& 방명애. (2016). 도덕과와 연계한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이 초등 정서·행동장애 위험학생의 수업참여도와 비장애 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정서ㆍ행동장애연구, 32(1), 191-211.
· http://www.riss.kr/link?id=A103650272
· 이지은. (2014). 사회정서학습의 도덕교육적 함의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 http://www.riss.kr/link?id=T13439370
· 김동일(Dongil Kim),우예영(Yeyoung Woo),박찬훈(Chanhoon Park),& 한다솜(Dasom Han). (2021). 사회정서학습 기반 중학생 인성 집단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敎育心理硏究, 35(3), 463-488.
· http://www.riss.kr/link?id=A107864355
· 홍정아,& 박승희. (2014).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이 통합학급학생들의 정서지능과 또래지원에 미친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49(2), 213-239.
· http://www.riss.kr/link?id=A105006936
· 이선경(Lee Sun Kyung). (2017).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사회정서학습(SEL)의 교육적 함의와 실천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9), 585-609.
· http://www.riss.kr/link?id=A103534622
· 백예은,& 박지연. (2020).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척도 개발 및 타당화. 정서ㆍ행동장애연구, 36(3), 185-210.
· http://www.riss.kr/link?id=A107063266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