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지방정부의 도시재생 정책 성공사례(스페인의 빌바오시-수변공간 활용을 통한 구겐하임 미술관 유치를 중심으로)
솜씨솜씨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제1장 서론제1절 조사방향과 목적
제2절 도시재생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수변공간
2) 문화형 도시재생
3) 수변공간 문화재생
제2장 빌바오시의 도시재생 정책 도입 배경
제1절 빌바오의 도시성장과정
1) 빌바오
2) 공업도시로서 빌바오의 성장
제2절 도시발전의 중심 네르비온(Nervion)강
1) 항만공업지역으로서의 네르비온강
2) 도시재생 축으로서의 네르비온강: 항만지역 확장과 수변공간재생
3) 메트로폴리탄 빌바오: 수변도시이미지 재구축
제3장 위기와 도시재생전략
제1절 공업도시의 쇠퇴
제2절 도시재생 전략수립
1) 바스크(Basque) 지역전략체계
2) 빌바오 도시활성화 전략
제4장 문화기반 도시재생(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제1절 문화와 도시
1) 서비스산업시대의 문화
2) 도시재생과 문화중심성
제2절 빌바오 아반도이바라(Abandoibarra)지역의 문화쿼터형성
1) 문화레저시설과 오픈스페이스 조성
(1) 도시상징으로서 문화인프라
(2) 아반도이바라 문화시설과 연계 오픈스페이스
제3절 문화형 도시재생의 중심: 구겐하임 미술관
1) 구겐하임 미술관
2)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 분석
(1) 지역적 특성 : 도시 발전계획의 일환
(2) 도시 : 외형적 특성
(3) 공간 : 기능적 특성
제4절 구겐하임 미술관의 유치성과
1) 구겐하임 미술관과 연계된 도시관광
2) 성공요인
제5장 수변공간을 통한 도시재생
제1절 공원과 광장체계 확장
1) 재생지역 중심으로 존재하는 오픈스페이스: 광장
(1)재생지역의 물리적 상징적 중심공간
(2) 도심과 재생지역의 축 형성: 광장과 보행도로의 반복 연계
2) 재생지역과 도심경계의 오픈스페이스: 공원
(1) 재생지역에서 도심으로의 영역적 확장
(2) 도로축에 의한 재생지역과 도심의 완충 역할
(3) 단절된 지역 간 연계 도모
제2절 도로체계 정립
1) 보행로와 자전거도로, 노면전차(tram) 활성화: 다양한 기능이 통합된 중심가로 형성
2) 기존 철도와 교차연계되는 새로운 도로체계 구축
3) 산업철도시스템 재정비에 의한 도시체계 보존 및 지역 간 연계
제3절 역사적 건축물의 재활용
제6장 결론
제7장 나의 의견
제8장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1장 서론제1절 조사방향과 목적
본 보고서에서는 해외 지방정부의 정책 성공사례로서 스페인의 빌바오시에서 실시한 도시재생정책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스페인의 빌바오시는 산업성장에 따른 도시파괴 문제를 해결하고자 빌바오시를 가로지르는 네르비온강의 수변공간을 활용하여 도시재생정책을 펼쳐 성공적인 성과를 얻었다. 수변공간 활용의 가장 효과적인 사례는 구겐하임미술관을 유치해 문화적 기반을 도시재생의 기틀로 삼은 것이다. 이러한 스페인의 빌바오시의 도시재생정책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본 보고서에서 다루고자 한다. 먼저 빌바오시가 이와 같은 정책을 펼치게 된 배경과 정책실행 초반에 세운 추진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빌바오시의 도시재생정책의 두 가지 Key Word인 문화기반의 도시재생과 수변공간을 활용한 도시재생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볼 것이다. 그런 후에 빌바오시가 현재까지 거둔 성과나 이것이 주는 시사점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이 보고서의 목적은 이러한 빌바오시의 성공적인 사례에 대해 조사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대구시에 적용될 수 있는 정책을 제안하고자 함이다. 빌바오시와 대구시는 문화를 도시발전의 기틀로 삼고자한다는 점과 도시를 가로지르는 중요한 강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이에 빌바오시의 성공사례가 대구시의 새로운 정책 결정에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어 빌바오시의 정책 성공사례를 주제로 선정하여 보고서를 작성하게 되었다.
제2절 도시재생 정책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수변공간
수변공간은 일반적으로 수제선(水際線)을 사이에 두고 육역과 수역을 포함한 장(場)을 뜻하는데, 이는 단순히 입지적 특성뿐 아니라 도시민에게 혜택을 주는 친수개념의 의미가 있다. 또한 생태적 관점에서 육역과 수역이 유기적으로 일체가 되는 수변공간은 도시의 오픈스페이스 기능 뿐 아니라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생산활동과 도시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도시공간의 중심으로서의 공용공간이다.
참고 자료
박은실, “도시 재생과 문화정책의 전개와 방향”, 문화정책 논총, 2005.김영환, “수변공간 문화재생의 계획적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4권 제8호(통권238호), 2008.
이금진, “빌바오 아반도이바라, 바리칼도, 아메졸라 사례를 통해 본 문화기반 하버프론트 재생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6권 제1호(통권255호), 2010.
이금찬, 여홍구, 강준구, 손병주, 이금찬 , "사석이탈방지틀이 사석보호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연구", 대한토목학회, 제34회 대한토목학회 정기 학술대회, 2008.
이영주, 권순석, 김대관, 김효정, 송인주, 전영옥, 한경수, "도시관광 개발사례 연구", 강원발전 연구원, 강원발전연구원 연구과제 요약집, 2005.
조희영, 김정곤,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을 통한 현대건축물의 아이콘화 요건 분석",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7권 제1호, 2007.
박세훈, “빌바오와 가나자와의 도시매력 증진사례”, 국토연구원 책임연구원, 국토 통권 제288호, 2005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스페인 빌바오 도시재생 전략 11페이지
- 빌바오의 역사부터 붕괴, 그리고 도시재생의 과정 16페이지
- [디자인, 브랜드] 청주도시브랜드기획안 20페이지
- 빌바오 구겐하임을 통한 스페인 도시재생 사례 19페이지
- 축제를 통한 용인시 도시브랜드 구축방안 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