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례선정 동기
미국 워싱턴 대학 의대 건강 계량·평가 연구소(Institute for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의 치매 위험인자들의 추세(trend)를 근거로 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2050년에는 치매환자가 지금의 5천740만 명에서 1억5천280만 명으로 3배 가까이 늘어날 것이라고 한다.이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이미 제시한 2050년 치매 환자 예상치 1억5천200만 명과 비슷한 수준이며,전세계적으로 노령인구가 증가함과 동시에 치매환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특히 알츠하이머 병(Alzheimer’s disease)은 치매 유형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근본적인 치료제등이 아직 없기 때문에,증상의 진행속도를 늦추는 것이 중요하다.이 사례보고서를 통해 알츠하이머 병(Alzheimer’s disease)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고,조기에 발견하여 치매 증상으로 인해 위협받는 환자들의 삶의 질을 개선시키고자 선정하게 되었다.
2. 신경계 구조와 기능
1)신경계 구조와 기능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구분된다.중추신경계에는 뇌와 척수가 포함되고, 말초신경계에는 뇌신경,척수 신경,자율신경이 포함되어 있다. 뇌신경은 총 12쌍으로 뇌에서 시작되어 얼굴과 목의 여러부위로 연결되고 감각,운동,또는 혼합기능을 한다.척수 신경은 총 31쌍으로 척수와 신체의 여러부위를 연결해 준다.말초신경계에 속하는 자율신경은 불수의적 신경계로 불리는데 이는 개인의 어떤 의도에 의해서가 아닌 무의식적인 반사수준에서 신경 활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또한 자율신경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구분되는데,교감신경은 항상성 유지와 스트레스원 대항기능을 하고,부교감 신경은 에너지를 절약 하여 신체에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신경계는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의 활동을 통해 내,외 환경으로부터 자극을 받아들이는 한편 그 자극에 대해 반응함으로써 신체 각 장기의 기능을 조절하고 통합한다.
참고자료
· 성인간호학Ⅱ,1239~1244p,수문사(서울)
· 서울아산병원,‘알츠하이머 치매’,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
· Detail.do?contentId=31999(2022.01.20)
· 한성간,연합뉴스,21.07.29,"치매 환자,2050년엔 현재의 3배로 증가",https://www.yna.co.kr/view/AKR20210729068300009(2022.01.19)
· 조재민,디멘시아뉴스,20.07.29,“파킨슨병 억제 항산화제, 뇌 직접 투여 시 효과 극대화”,https://www.dementi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954(2022.01.19)
· 약학정보원,‘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약물’,https://www.health.kr/,(2022.01.20)
· 윤현철,정현강(2018),치매의 약물요법,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정신건강의학과, 2정신건강연구소,758p-764p
· 간호과정 실무지침,649~652,656~661p,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서울)
· 간호진단,중재 및 결과 가이드,115~123p,현문사,(서울)
· 약학정보원,https://www.health.kr/(2022.01.25)
· 분당서울대학교병원‘알츠하이머검사’,https://www.snubh.org/dh/main/index.do?DP_CD=DCD21&MENU_ID=004007004,(2022.01.26)
· 식품의약품안전처,https://nedrug.mfds.go.kr/(2022.01.26)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