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노인이 되기 전에 우리의 부모님은 한 가정의 부모역할, 직장생활 등으로 인해 바쁜 나날을 보냈습니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여가의 개념
2. 여가의 필요성
3. 현재 우리나라 노인의 여가실태
4. 어떤 여가가 성공적 노후생활일까?
5. 내가 꿈꾸는 여가생활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리 사회는 핵가족화와 가족의 기능과 역할이 축소, 근로 시간의 단축과 고령화사회로 넘어가면서 은퇴 후의 시간도 늘어나고 있다. 노인인구의 급증이 저출산과 맞물려 진행되면서 세계에서도 유래 없는 급속한 인구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018년에 전체 인구의 14.3%로 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이며, 2026년에 20.8%로 초고령사회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통계청, 2014). 국내는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비로소 성공적 노화이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서구적인 가치관과 개념에 의존해왔던 성공적인 노화연구에서 탈피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새로운 성공적인 노화 개념 설정의 필요성을 자각하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이신영, 2006).
급변하는 사회 상황에 맞춰 ‘여가’가 지니는 의미도 점점 커지고 있다. 이러한 여가시간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성공적인 노후를 보내고 있는가에 대한 답도 변할 것이다. 요즘은 생활수준의 향상과 가치관의 변화로 여가를 즐기기 위해 생업에 종사한다고 얘기하기도 한다.
사람들은 점점 자신의 건강이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자아실현을 위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여러 종류의 여가활동을 하고 있고, 자유시간이 증가되는 것과 상관없이 여가를 중요한 생활의 일부로 인식하고 있다(차주은, 1995).
참고 자료
보건복지부(2020), 「새로운 노인층의 등장, 달라지는 노인세대(2020년 노인실태조사 결과 발표)」,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 0403&CONT_SEQ=365977
윤지원(2015), “노인의 여가활동 및 여가만족과 성공적 노화 인식의 관계”,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20-21.
이신영(2006), “국내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일고찰”, 「복지행정론집」, 16호(1), 한국복지행정학회, pp.117-136.
중앙일보(2018), “성공적인 노후생활의 비결…의미 있는 미래 만들어 가라”, 이주현 객원기자,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6230698
차주은(1995), “주부의 가족생활 주기와 여가활동참여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최경인(2007), “여가분석을 통한 여가교육이 여성의 여가태도, 여가능력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p.42, 53.
통계청 www.kostat.go.kr, 2014, 인구주택총조사.
홍현방‧최혜경(2003), “성공적인 노화 정의를 위한 문헌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한국가정관리학회, pp.145-154.
Parker, 1979, The sociology of Leisure, London, George Allen & Unwin; 최성재, 장인협, 2006,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출판부, p.258에서 재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