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에 나타날 수 있는 정신건강 문제를 조사하여 제시해 보고, 성공적 노화를 위한 각 개인의 노력으로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방안제시
- 최초 등록일
- 2022.07.11
- 최종 저작일
- 2022.07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노년기에 나타날 수 있는 정신건강 문제를 조사하여 제시해 보고, 성공적 노화를 위한 각 개인의 노력으로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방안제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노년기의 정신건강의 이해
2)노화이론과 관련하여 성공적 노화를 위한 고찰
3. 결론
본문내용
2. 노화이론과 관련하여 성공적 노화를 위한 고찰
1) 노화이론과 성공적 노화의 개념
노화이론은 생물적 노화이론, 심리적 노화이론, 사회학적 노화이론, 성공학적 노화이론으로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노화이론 중 성공학적 노화이론을 설명하고자 한다.
누구나 노년기의 변화하는 삶에 잘 적응하여 성공적으로 노년기를 보내기를 희망할 것이다. 많은 학자들이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연구를 하였지만 로(Rowe)와 칸(Kahn)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이론(1997, 1998) 이후 성공적 노화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로와 칸의 성공적 노화는 무엇을 성공적 노화로 볼 것인가로 질병과 장애의 예방, 신체·인지기능, 적극적인 사회활동의 세 영역으로 보고 있으며 질병과 장애의 예방은 신체·인지 기능의 선결조건, 신체·인지기능은 적극적인 사회활동의 선결조건으로 질병과 장애가 없어야 신체·인지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며 신체·인지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적극적인 사회활동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이 세 가지가 이루어지는 영역을 성공적 노화라고 한다.
성공적 노화이론에서 초점을 두고 있는 이슈는 ‘어떤 것이 성공적인 노화일까?’이다.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이론적 입장은 크게 세가지로 구분된다.
먼저, 분리이론에서는 신체적⦁심리적⦁사회적으로 점진적인 철회가 이루어지는 노년기를 부정적으로 보지 않고, 오히려 철회나 분리가 자신의 삶에 대해 보다 성찰하게 하고, 사회적 역할에 덜 얽매이게 하며, 사회적 관계에서도 분별력 있게 되어 자신과 잘 맞는 사람에게만 집중할 수 있게 해주므로, 철회나 분리는 좀 더 노년기 성인에게 더 많은 자유를 제공한다고 본느 것이다.
이와 달리 활동이론에서는 세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활동하는 것을 성공적 노화의 기로 제시했다. 따라서, 중년기 동안 추구해온 활동과 관심사를 철회하지 말고, 이를 계속유지하라고 권한다. 은퇴를 했다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른 일을 찾아 활동하라고 한다.
세 번째 이론으로 제시된 성격과 생활양식이론은 앞에서 설명한 분리이론과 활동이론이 공통적으로 범하고 있는 문제점은 둘 다 성공적 노화를 단일한 유형으로 규정하려 할뿐 개인차를 크게 고려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뉴가튼(Neugarten 외, 1968)의 학자들은 노인들을 대상으로 종단연구를 수행한 결과, 성공적인 노화를 노인의 활동이나 관여수준만으로 평가하기 보다는 노인 개개인의 성격과 관련시켜 이해할 때 보다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따라서 생활양식이론에서 성공적 노화는 개인의 성격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개인의 성격유형을 고려하지 않는 성공적 노화이론은 무가치하다고 주장한다. 단순히 사회로부터 분리되거나 계속해서 활동하는 노년기의 성공적인 노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그것이 노인 개개인의 성격유형과 조화를 이룰 때 성공적인 노화라 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참고 자료
노년기 의미와 즐거움 : 에릭슨 저 / 한성열 역 / 2000 / 학지사
성인발달과 노화 : 정옥분 저 / 2001 / 교육과학사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박상규(2006) 노인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간의 관계. 한국건강심리학회. 학술논문
노인의 자존감, 활동의 중요성-성공적인 노화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https://elifeacademy.org/
https://blog.naver.com/psljjh/222576114240
김영욱. "중년기 성인의 가족건강성과 노후준비도가 성공적인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 자원봉사활동 매개효과." 국내박사학위논문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21.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