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im Carl shapiro, AMI(Acute Myocardial Infarction급성심근경색) 간호과정 A+
vsim 여러번 해보면서 하나하나 다 클릭해서 피검사, 투약 각종 스페셜 검사 다 적어놨고, 검사결과까지 다 조사했습니다.
간호과정하면서 문헌고찰부분 특히 교수님께 지적할 부분 없다고 너무 잘했다고 칭찬받았고, 간호과정에서 피드백 받은 부분은 다 수정했습니다.
간호진단 2개(심박출량감소 / 급성통증) 간호과정1개입니다.
vsim 여러번 해보면서 하나하나 다 클릭해서 피검사, 투약 각종 스페셜 검사 다 적어놨고, 검사결과까지 다 조사했습니다.
간호과정하면서 문헌고찰부분 특히 교수님께 지적할 부분 없다고 너무 잘했다고 칭찬받았고, 간호과정에서 피드백 받은 부분은 다 수정했습니다.
간호진단 2개(심박출량감소 / 급성통증) 간호과정1개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사례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하나라도 혈전증이나 혈관의 빠른 수축(연축) 등에 의해 급성으로 막히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서 심장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괴사) 상황을 심근경색증이라 한다. 심근경색은 심전도 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ST절 상승 심근경색증, 비ST절 상승 심근경색증으로 분류할 수 있다.
- Cardiac serum marker, Cardiac Enzyme 검사상 심근 괴사의 증거가 없으면 불안정형 협심증 (unstable angina), 관상동맥 폐쇄가 좀 더 지속되어 심근 괴사의 증거가 있으면 Non–ST 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NSTEMI) 으로 진단하게 된다.
3. 병태생리
- 관상동맥이 혈전에 의해 30분 이상 지속적으로 완전히 막히면 허혈 상태의 심근세포에 괴사가 시작된다. 심근경색 부위의 형태학적 변화는 폐색된 후 시간 경과에 따라 다르며 첫 12시간까지는 괴사 된 심근조직이 육안으로는 정상적으로 보인다. 18~24시간이 지나면 육안으로 괴사 부위를 식별할 수 있고 적갈색의 심근이 빈혈을 일으켜 회갈색으로 변한다.
- 괴사 층의 병리적 소견은 심근허혈의 정도에 따라 외층의 허혈 층과 중간층의 심근 손상, 완전히 혈류가 차단된 중앙부위의 괴사 층을 볼 수 있다.
- 2~4일이 경과되면 괴사 부위가 명확해지고 4~7일이면 중앙부는 유연해져서 이때에 출혈과 심근의 파열이 올 수 있다. 발병 4~7일쯤이면 측부순환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7~10일이 되면서 괴사 부위는 점차 회색 섬유아세포의 증식이 일어난다.
- 10일~6주 동안에 섬유성 반흔조직으로 점차 대치되면서 치유되지만 심장 기능은 현저히 약해진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