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본론
1) 지역사회보장계획에 나타난 대전광역시의 특징
2) 복지 부문별 사업계획 중 자치구별 2000가구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보장 조사 결과 분석 - (장애인, 장애아동 돌봄 가정)
3) 지역사회보장계획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지역사회보장계획은 2005년 사회복지법 개정안에 지역사회복지계획의 근거가 마련되면서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시·읍·군·구는 4년마다 중기계획을 수립하고 4년마다 연차계획을 수립해 지역 사회보장계획을 검토해야 한다. 이 같은 지역사회보장계획이 등장한 이유는 복지가 지역사회에 보급되면서 공공의 책임을 가진 지자체의 역할을 강조하기 위해서였다. 지역사회보장계획은 사회보장급여법에 따른 법정계획으로 시·군·구 단위에서도 사회보장 부문을 신설하는 종합계획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보장계획에서는 사회복지영역 확대와 동시에 지방자치단체의 책임도 강화되고 광역자치단체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분담도 명확히 규정되었다. 따라서 본 레포트에서는 대전광역시 4기 지역사회보장계획의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2. 본론
1) 지역사회보장계획에 나타난 대전광역시의 특징
(1)인구수
대전광역시의 총인구는 2013년 약 153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로 전환해 2015년 151만명, 2017년 150만명, 2018년 149만명으로 줄었다.
참고자료
· 이정은. (2016).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의 변화와 과제. 보건복지포럼, 2016(7), 62-75.
· 강혜규, 김보영, 주은수, 채현탁, 이지영, 김태은, ... & 김진희. (2018).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이해-지자체의 제 4 기 계획 수립· 실행 지원 연구.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