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호스피스완화 중간고사 범위
- 최초 등록일
- 2022.07.04
- 최종 저작일
- 2022.03
- 11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2,500원
소개글
"[간호학과] 호스피스완화 중간고사 범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chapter 1. 죽음에 대한 이해
죽음에 대한 의학적 이해
1. 신체적 죽음
- 죽음의 사전적 의미: ‘생물체의 생명이 소멸되는 것’
- 세포 내에서 원활하게 일어나는 물질 합성 및 분해, 에너지 생성 및 사용과정 모두 ⇒ 세포의 생명활동
- 세포사(apoptosis)과정: 이러한 생명활동의 연장선 가장 끝에 있는 현상의 하나, 괴사(necrosis)와 달리 생명이 유지되고있는 한 인체에서 매일같이 일어나며, 수백억개의 세포가 예정된 세포사에 의해 죽고 제거 됨
- 의학적 측면에서 다루는 죽음: 신체적인 죽음으로 생물학적 죽음/임상적 죽음으로 구분
1) 생물학적 죽음
- 심장, 폐 등으로 향하는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각 장기가 저산소성 손상에 의해 괴사되기 시작, 이후 순차적으로 그 외의 장기들(피부, 신장, 간 등)이 괴사되며 수시간에서 수일에 걸쳐 부패하는 전 과정을 포함
2) 임상적 죽음
- 의학적으로 호흡이 없고, 심장이 정지된 상태
- 뇌의 활동이 중지된 상태
- 인간의 임상적 죽음 의학적 정의
- 심장사:심장의 기능정지
- 뇌사: 의식세계를 관장하는 뇌기능의 정지
(1) 심장사
- 옛날부터 심장, 폐 및 뇌간을 포함한 전체 뇌기능의 불가역적 정지를 죽음으로 인정
- 죽음의 3가지 징후
: 호흡정지, 심박동정지, 동공확대와 광반사 소실
- 3가지 증상 확인 후 30분 후 반복 검사 시 여전하면 사망
- 심장박동 정지순간을 사망시간으로 정하여 사망진단서 발급
(2) 뇌사
- 1800년대부터 정의, 하지만 뇌사가 무엇인지 한마디로 정의 어려움
- 뇌의 모든 기능의 불가역적 정지
- 혼수를 넘어선 상태
- 지속적 식물인간상태 (persistent vegetative state): 의식 및 인식, 사고과정을 담당하는 뇌간 상부의 뇌피질 기능이 상실 ⇒ 자발호흡과 심장박동 담당하는 뇌간 하부 기능 남아있는 상태 ⇒ 인공영양 공급 지속 시 수년까지도 생존
- 1989년 대한의학협회에 속한 '뇌사연구특별위원회'의 뇌사판정의 기준
①외부자극에 전혀 반응이 없는 깊은 혼수상태
②자발호흡의 불가역적 소실 (자발호흡 X)
③양안동공의 확대고정
④뇌간반사의 완전소실
⑤자발운동, 제뇌강직, 제피질강직, 경련들 나타나지 X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