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숲의 형성배경과 발전방향 분석
- 최초 등록일
- 2022.07.03
- 최종 저작일
- 2022.07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마을숲의 개념, 형성배경, 현대적 의미, 기능, 유형, 마을숲의 발전방향을 분석하였습니다.
목차
1. 마을숲의 개념
2. 마을숲의 형성배경
1) 전통문화
2) 기능적 배경
3) 경관적 배경
3. 마을숲의 현대적 의미
4. 마을숲의 기능
5. 마을숲의 유형 분석
1) 위치와 기능에 따른 마을숲의 유형
2) 마을숲의 기능 유형
6. 마을숲의 발전방향
7. 참고자료
본문내용
1. 마을숲의 개념
마을숲이란 마을과 마을사람들의 삶과 연계되며 마을사람들에 의해 특정한 장소에 의미가 부여되고 조성된 숲을 의미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일반 산야에서 숲으로 산림이나 목재를 이용할 목적으로 조성된 숲을 의미하지 않는다. 고목의 정자나무 한두 그루를 중심으로 하거나, 그 이상의 노거수들이 형성된 작은 숲동산이기도 하고, 대규모의 숲인 경우도 있다. 마을의 역사, 문화, 토착신앙, 풍수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마을사람들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조성되어 유지 또는 보호되어 온 숲을 의미한다.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 제5호, 시행령 제2조 제3항 제1호에 따르면 마을숲은 "산림문화의 보전과 지역주민의 생활환경 개선 등을 위하여 마을 주변에 조성·관리하는 산림 및 수목"을 의미한다.
마을숲은 "마을 사람들의 생활과 직접 관련을 맺고 있는 마을의 역사·문화·신앙과 지리·지형적 조건 등을 바탕으로 마을 사람들에 의하여 마을의 입구 혹은 외곽에 인위적으로 조성되거나 잔존림을 보호하고 유지해온 숲"이다.
즉 마을숲이란 “생활문화와 역사가 온전히 녹아들어 배어 있는 농촌마을의 생태적 거점으로서 대대로 이어져 온 삶의 흔적이며, 역사의 실체이고 문화의 표상”이다.
2. 마을숲의 형성배경
1) 전통문화
마을숲의 형성 배경으로 먼저 전통문화를 들 수 있다. 조선시대 양반들이 주로 모여 살던 반촌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마을숲은 만물 유신사상에 기초하여 숲을 신성시하고 제례의 대상으로 삼아 고대로부터 전승되어온 토착 신앙적 배경과 음양오행설과 지모사상을 근거로 한 적지선정 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다. 신라 말에 유입되어 한국인의 뿌리 깊은 지리적 사고로 발전 되어 장풍득수를 위한 비보와 압승의 수단으로 숲을 조성한 풍수적 배경 그리고, 이중환의 택리지에 근거한 사대부의 가거지 선정기준 및 산림경영, 전학후묘(前學後墓)형태의 제의공간, 마을숲을 선경, 선계화 하여 선비들의 생활근거지로 삼은 유교적 배경도 형성배경이 된다.
참고 자료
김수희(2010). 해안마을숲의 문화경관 특성에 관한 연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인선(2011). 원주 성황림의 상징성과 공간성에 대한 민속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학범(2003). 마을숲 문화재 자원조사 연구보고서. 문화재정.
농촌진흥청(2016). 세시풍속과 전통 마을숲을 활용한 축제·체험 콘텐츠 개발. 농촌진흥청.
신상섭(2006). 전북의 아름다운 마을숲 10선. 우석대학교 자원개발 및 환경계획연구소.
이현정(2004). 마을숲의 환경지리적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