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지속가능한 사회와 제도] OTT 서비스 내 환경 다큐멘터리의 시청 유도 방안 제시 - 넷플릭스(Netflix)를 중심으로

17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22.06.30 최종저작일 2020.06
17P 미리보기
[지속가능한 사회와 제도] OTT 서비스 내 환경 다큐멘터리의 시청 유도 방안 제시 - 넷플릭스(Netflix)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소개

    <지속가능한 사회와 제도> 기말 과제로 제출한 보고서입니다.

    목차

    1. 서론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3) 연구 범위

    2. 넷플릭스 내 환경 다큐멘터리 제공 양상 분석
    1) 환경다큐멘터리 카테고리 유무
    2) 콘텐츠 이미지

    3. 넷플릭스 내 환경다큐멘터리의 시청 유도 방안 제시
    1) 환경다큐멘터리의 노출
    2) 카테고리 추가 및 고정
    3) 환경 기념일 관련 콘텐츠 추천
    4) 자극적 콘텐츠 이미지 추가
    5) 오리지널 다큐멘터리 제작

    4. 결론 및 시사점

    본문내용

    1-1. 연구 배경
    최근 몇 년간 범용 인터넷망 (public internet)을 통해 영상콘텐츠를 제공하는 OTT(Over-T he-Top) 서비스가 각광받고 있다.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간편하게 원하는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게 한다는 편리성을 그 이유로 들 수 있다(김희경, 2017). 대표적인 OTT 전문 기업으로는 넷플릭스(Netflix)가 있는데, 1997년에 설립된 이래로 다양한 기기에서의 서비스 제공, 이용자의 취향을 고려한 영화추천 기능, 양질의 콘텐츠 등을 통해 성장해왔다(문성길, 2015). 현재 전 세계적으로는 약 190개의 국가에서 1억 8,300만 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고(넷플릭스, 2020) , 국내에서는 2020년 5월 PC와 모바일 통합 기준으로 736만 명의 이용자 수를 보유하고 있다. 넷플릭스는 이용자가 만족할만한 콘텐츠의 배급 및 제작에 힘쓰고 있는데, 이에 넷플릭스에서 제공되는 콘텐츠들은 완성도와 작품성을 인정받으며 많은 사람의 관심과 호응을 이끌고 있다.
    한편 2020년 여름을 맞으며 제17회 서울 환경영화제가 개최를 앞두고 있다. 영화를 통해 환경에 대해 논의하겠다는 취지로 페스티벌을 개최하여 환경 감수성 향상을 도모하고 환경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처럼 환경을 주제로 한 영상콘텐츠는 환경문제 논의를 위한 수단 중 하나로써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환경다큐멘터리에 주목해볼 수 있는데, 환경다큐멘터리란 인류가 산업화와 도시화를 통해 이룬 기하급수적인 문명 발달의 대가로 치르게 된 환경 관련 문제들을 취재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하고자 하는 영상콘텐츠이다. 시청자에게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태도 변화를 요구하고 경각심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김문준, 2010)는 점에서 환경문제 완화 및 방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영상콘텐츠라고 할 수 있다. 실제 환경문제 방지에 기여한 환경다큐멘터리로는 왕구량 감독이 2016년에 발표한 <플라스틱 차이나>를 들 수 있다. 이 다큐멘터리는 많은 사람이 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도록 한 것을 넘어 전 세계 쓰레기의 56%를 수입하던 중국이 쓰레기 수입을 금지하는 데에 영향을 미쳤다.

    참고자료

    · - 최현주(2009), ⌜한국 TV 환경 다큐멘터리에 나타난 환경문제 인식의 변화⌟,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연구, Vol.9 No.2, p3
    · - 김희경(2017), ⌜넷플릭스 진출을 통해 본 국내 OTT 산업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p8-11
    · - 문성길(2015), ⌜넷플릭스(Netflix)의 신기술 활용 혁신전략에 관한 연구: 빅뱅파괴 패러다임을
    ·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p66-67
    · - 김문준(2010), ⌜인터랙티브 영상콘텐츠로서의 환경다큐멘터리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p8, 14-15
    · - 김은지, 넷플릭스, 뉴미디어시장 장악… 체면 구긴 토종 미디어 초비상, 디지털 타임스, 2020-06-17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931032001&ref=naver
    · - 차주경, OTT 영화·드라마, 플랫폼 이어 콘텐츠 유행도 주도, 조선일보, 2020-06-11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6/10/*************.html
    · - 이미경, [정동칼럼]달달한 드라마 속 씁쓸한 일회용 컵, 오피니언, 2018.05.06.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code=990308
    · - 최대열, [한류 덮치는 넷플릭스] TV 안 보는데 수신료 내야 하나요?, 아시아 경제, 2019.04.25.
    ·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814534
    · - 김경구, [글로벌-엔터 24] 넷플릭스 ‘흑인과 미국’ 주제 새 카테고리 설정 ’문라이트‘ 등 45편 목록화, 글로벌이코노믹, 2020.06.12.
    · https://news.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678199ecba8d8b8_1/article.html?md=*************5_R
    · - 주승호, 넷플릭스, 여성의날 맞아 ‘영감을 준 작품들’ 컬렉션 공개, venturesquare, 2020.03.05.
    · https://www.venturesquare.net/804134
    · - 박영근, 넷플릭스, 기술력·스토리 더한 다큐멘터리 선봬, 위키리스크한국, 2020-05-02
    · http://www.wikileaks-kr.org/news/articleView.html?idxno=86765
    · - 임지영, 전 세계 사로잡은 ‘넷플릭스 다큐의 힘’, 시사IN, 2020.06.06.
    ·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124
    · - 정용찬, 최지은, 김윤화, 2019년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보고서, 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9-12-31 https://www.kisdi.re.kr/kisdi/fp/kr/board/selectSingleBoard.do?cmd=selectSingleBoard&boardId=GPK_RND_DATA&seq=33977
    · - 넷플릭스 미디어 센터 https://media.netflix.com/ko/
    · - [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태그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837553&cid=40942&categoryId=32854
    · - [네이버 지식백과] 시사상식사전, 조지 플루이드 사건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952348&cid=43667&categoryId=43667
    · - [네이버 지식백과] 영어사전, LGBTQ
    · https://en.dict.naver.com/#/entry/enko/340b40e678f14aa7adac5882ff6793fd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