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졸업논문입니다.
자료를 직접 분류하고 분석한 것이니
아마 많은 도움 될 겁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1.2. 선행연구의 검토
1.3. 연구의 방법
2. 방송언어의 개념
2.1. 방송언어의 정의
2.2. 방송언어의 특성
2.3. 방송언어의 요건
3. 방송언어의 오용사례
3.1. 발음
3.2. 표기
3.3. 어휘
4. 방송언어의 개선방안
4.1. 전문 방송인의 교육 강화
4.2. 방송언어 심의 전담기구 설치
4.3. 방송인의 의식 전환
4.4. 시청자와 청취자의 감시 강화
4.5. 방송출연자의 언어기준 설정
4.6. 방송언어 오용자 방송출연 규제
5. 결론
5.1. 연구 결과의 요약
5.2. 방송언어에 대한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회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언어를 파급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는 것 중의 하나가 대중매체일 것이다. 텔레비전, 라디오, 신문, 영화 등의 대중매체는 우리 삶 깊숙이 자리잡고 있으며, 우리는 살아가는 데 필요한 거의 모든 정보를 대중매체를 통해 습득하고 있다. 시청자가 매스미디어를 통하여 사회적인 학습을 한다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일상적인 매체로 자리잡은 방송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언어의 영향은 그 형식과 내용에 있어 어느 것보다 크다고 할 수 있다. 시청자들이 방송을 통하여 언어를 배우는 과정은 크게 무의식적 학습과 의식적 학습으로 나누어진다. 무의식적 학습은 시청자가 배우겠다는 목적의식이 없더라도 오랜 시간동안 같은 언어형태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동안 조건반사적으로 그 언어형태를 배우게 되는 것이다. 의식적 학습은 ‘방송언어가 곧 표준어’라는 믿음을 가진 시청자들이 방송에서 사용하는 언어형태를 의식적으로 모방하는 과정을 일컫는다. 시청자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방송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모방하므로 방송언어의 사회적 영향력은 날로 증대되고 있다.
참고 자료
곽채수, 「텔레비전 출연자의 언어 고찰」, 숙명여대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5.
김상준, 『방송언어 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 1997.
김열규, 「방송언어의 어휘와 문장 연구」, 『방송언어 변천사』, 한국방송사업단, 1987.
박갑수, 「방송언어의 현상과 반성」, 『방송언어 연구논총』, 한국방송공사, 1988.
박갑수, 「방송언어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방송조사연구보고서 제4집』, 방송위원회, 1987.
박갑수, 『우리말 사랑 이야기』, 한샘, 1994.
이계진, 『아나운서 되기』, 우석, 1990.
이익섭, 「방송에서의 표준어와 비표준어」, 『방송언어연구논총』, 한국방송사업단, 1988.
이현경, 「방송언어와 국어순화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외대대학원 석사논문, 1992.
윤영미, 「방송오용 사례의 장르 채널 직업별 분석 연구」, 경희대언론정보대학원 석사논문, 2000.
최은주, 「방송언어와 언어교육」, 아주대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2.
최진근, 「한국 방송언어의 연구」, 대구대대학원 박사논문, 1995.
KBS 한국어연구회 편, 『방송과 표준한국어』, 한국방송공사,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