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 다산 정약용을 통해본 근대모색(정치. 사회, 경제 사상을 통해)
*성*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논문 개요들어가는 글
1. 다산의 민주주의적 정치사상
(1)‘아래로부터’의 민권
(2)강력한 개혁 군주
2. 다산의 보수적 신분사상
(1)보수적인 노비관
(2)서얼 등용론
(3)보수적 양반 비판
3. 다산의 ‘균부(均富)’론적토지 개혁 사상―여전제와 정전제
(1)다산의 토지 개혁론의 공통점
(2)조선 후기 사회․경제 변화와
여전제에서 정전제로 이행 이유
(3)다산의 토지개혁의 특징
4. 다산의 `한국적 근대`의 청사진의 모색
나오는 글
참고 문헌
본문내용
한국사에 있어서 근대는 큰 시련의 시기였다. 주지하다 시피 ‘식민지―분단체제’를 겪으면서 한국사에 있어서 자주적인 근대 이행이 실패하였다. 한국사에 있어서 자주적인 근대 이행의 두 가지 과제는 ‘국권 수호’와 ‘한국적 근대화’였다. 하지만 ‘식민지―분단체제’를 겼으면서, 이 두가지 과제는 왜곡되었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한국의 근대를 ‘왜곡된 근대’라고 표현하였다.그렇지만, ‘자주적 근대화’의 책무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사실 한국사 자체의 사회 이행 움직임을 이야기 할 때 서구적인 시대구분 용어인 ‘근대’라는 표현은 의미의 혼돈을 가져올지도 모른다. 하지만, 근대 이후 세계의 역사의 전개는 개별지역의 독립적인 역사 발전이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또한 한국사 자체에서도 내외적인 이유 때문에 ‘자주적 근대화’가 실패하였다. 그렇기 본고에서는 ‘근대’라는 용어를 그냥 사용하였다. 하지만 분명히 구분해야 될 때는 ‘자주적 근대화’ 혹은 ‘한국적 근대’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다.
이는 해방 된지 반세기가 지나도록 주장되는 친일파 문제를 비롯한 식민지 유산 청산과 더욱 중요한 것은 ‘분단체제의 극복’ 즉 통일이라는 ‘자주적 근대화’의 문제들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임현진, 「사회과학에서 근대성 논의」,『한국의 근대와 근대성 비판』, 역사비평사, 1996
“전근대, 근대, 탈근대가 혼재된 시간대”라고 표현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은 결코 외부에서 해결해 주지도, 줄 수도 없는 문제이다.
그렇다면 앞으로 ‘자주적 근대화’를 시행함에 있어서 역사적으로는 어떠한 고찰이 필요할까? 이는 바로 조선 후기 ‘자주적 근대화’의 청사진을 복원하는 일이다. 이는 ‘식민지―분단체제’라는 왜곡된 근대의 반성을 위해서도, 앞으로 이러한 왜곡된 근대를 극복한 이후 ‘자주적인 근대’를 이룩하는데도 반드시 살펴보아야 할 사항이다.
하지만 ‘자주적 근대화’의 청사진을 복원하는 일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우선 실학의 집대성자로 알려진 다산을 통하여 ‘자주적 근대’의 청사진을 복원하는 실마리를 찾아보고자 한다. 그렇지만 다산은 위대한 사상가이기는 하지만, 아직 전근대를 완전히 넘어선 사람은 아니다.
참고 자료
안외순,「다산 정약용의 정치권력론의 성격」,『동방학』,한서대 부설동양고전연구소 , 2001
조광,「정약용의 국민주권론」,『외대』15, 한국외국어대학교, 1980
박광용,「19세기, 근대로의 이행인가 반동인가-세도정권기 대원군집권기에 대한
역사적 평가 19세기 초․중반의 정치와 사상」,『역사비평』1996년 겨울호,
역사문제연구소
조성을,「정약용의 상업적 농업 발전론」,『아주대인문논총』6, 아주대학교, 1995
조성을,「정약용의 신분제 개혁론」,『동방학지』51, 연세대, 1987
김영호,「다산의 신분제 개혁론」,『한국사론』10, 한국 정신문화연구원, 1989
정성철,「정약용의 사회정치 사상」,『다산 정약용 탄생 200주년 논문집』,
북한 과학원 철학연구소, 1962 ,『다산학보』10 재수록(1990)
이영훈,「다산의 정전제개혁론과 왕토주의」,『민족문화』19, 민족문화추진위원회, 1996
박찬승,「정약용의 정전제론 고찰」,『역사학보』110, 역사학회, 1987
김용섭,「실학파의 농업개혁론」, 『한국근대농업사연구』, 일조각, 1975
고동환,「상품유통경제의 발전」,『한국역사입문』2, 풀빛, 1995
김용섭,「근대화 과정에서의 농업개혁의 두방향」,『한국근현대농업사연구』,
지식산업사, 2000
임현진,「사회과학에서 근대성 논의」,『한국의 근대와 근대성 비판』, 역사비평사,1996
김성보,「근대의 다양성과 한국적 근대의 생명력」,『역사비평』2001 가을호,
역사문제연구소
한국역사연구회, 「근대 이행의 기점 토론 요지문」,『역사와 현실』9, 1993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도시계획] 통일한국의 토지사유권과 Henry George의 토지소유사상에 관한 연구 22페이지
- [조선시대 ] 다산 정약용의 실학사상 11페이지
- 조선시대 실학자 5페이지
- 실학과 동학을 왜 배워야 하는가? 4페이지
- [역사]소현세자&소현세자빈에 관한 연구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