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기미의 12권, 습증치법, 해표지제, 온산지제, 치열산울지제, 선제, 공하지제, 승산삼리지제.hwp12페이지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
- 최초 등록일
- 2022.06.26
- 최종 저작일
- 2022.06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500원
소개글
옥기미의 12권, 습증치법, 해표지제, 온산지제, 치열산울지제, 선제, 공하지제, 승산삼리지제.hwp 12페이지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
목차
없음
본문내용
고찰:이는 태양경 약의 예에서 나온다.
諸濕鬱滯於表裏, 重痛沈著, 非此不除.
여러 습의 표리에서 울체로 무겁고 아프고 가라앉아 붙으면 이것이 아니면 제거 못한다.
東垣海金沙散
이동원 해금사산
治脾濕太過, 通身腫滿, 喘不得臥, 及腹脹如鼓.
해금사산은 비습이 태과함, 온 몸이 붓고 그득함, 숨참으로 눕지 못함, 북처럼 복부창만함을 치료한다.
牽牛(一兩半, 微炒) 甘遂(半兩) 白朮(一兩) 海金沙(三錢)
약간 볶은 견우자 60g, 감수 20g, 백출 40g, 해금사 12g
右爲末, 每二錢煎, 倒流水調下, 得利, 止後服.
위 약제를 가루내어 매번 8g을 달여
*倒流水:逆流水라고도 하는데 즉 천천히 휘돌아 흐르는 물을 말한다. 거슬러 흐르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여기에 담 음을 토하게 하는 약을 타서 쓴다.
聖靈丹
성령단
治脾肺有濕, 喘滿腫盛, 小便赤澁.
성령단은 비와 폐에 습이 있음, 숨참과 그득함 부종이 성대, 소변이 적색으로 시원치 않음을 치료한다.
苦葶藶(四兩, 炒) 茯苓(寒食麪包, 煨) 木香 檳榔 漢防己 木通 人參(各二錢半)
*寒食日에 박편(薄片)을 만들어 쪄서 陰乾하니 민간에서는 이날을 전후하여 쑥탕, 쑥떡을 만들어 먹었다. 한식날 먹는 메밀국수를 ‘한식면(寒食麵)’이라 하고, 한식 무렵 잡은 조기를 ‘한식사리’라고 한다.
볶은 쓴 정력자 160g, 한식면으로 싸서 구운 복령, 목향, 빈랑, 한방기, 목통, 인삼 각 10g
右爲末, 棗肉丸, 梧子大.
위 약제를 가루내어 대추살로 오동나무 씨 크기로 환을 만든다.
每三十丸, 桑白皮湯下.
매번 30환은 상백피탕으로 연하한다.
續隨子丸
속수자환
治肺經有濕, 通身虛腫, 滿悶不快, 或欬或喘.
속수자환은 폐경에 습이 있고 온 몸이 허증으로 부음, 가득하고 답답하며 불쾌함, 혹은 기침하고 혹은 숨차함을 치료한다.
人參 漢防己 赤茯苓(如工煨) 檳榔 木香(各半兩) 葶藶(四兩, 炒) 續隨子(一兩) 海金沙(半兩)
인삼, 한방기, 공장에서 구운듯한 적복령, 빈랑, 목향 각 20g, 볶은 정력자 160g, 속수자 40g, 해금사 20g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