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사업 선정배경 및 현황
1. 사업 선정배경
부산광역시 북구의 총 인구수는 전체적으로 증감을 반복하고 있으나 노인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6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서 보면 우리구의 치매 추정환자 대비 치매치료를 받은 환자는 61%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매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통합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치매안심센터 건립과 인력 역량강화, 치매환자의 치료를 위한 사업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져 노인의 치매예방을 사업으로 선정하였다.
2. 간호진단
우선순위 3
간호진단 치매예방사업의 간호접근의 한계와 관련된 치매 조기 발견율 감소
Ⅱ. 성과지표 (목표)
일반적 목표 (장기목표)
202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1년 이내)까지 부산광역시 북구 60대 노인들의 치매예방프로그램의 경험률이 상승하고, 치매 선별 검사율이 상승한다.
구체적 목표 (단기목표)
1. 2022년 6월 부산광역시 북구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치매예방프로그램을 한 가지 이상 실시한다.
2. 2022년 6월 부산광역시 북구 주민들의 치매선별검사율이 2021년도 목표인 7500명과 대비해서 8000명을 달성한다.
참고자료
· 박철용, 『지역사회보건간호학1, 수문사』, 2019
· 송경애 외(2017). 『최신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 송경애 외(2017).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 원정순 외(2015).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현문사
· 질병관리본부, 삶의 질 조사도구(EQ-5D)의 질 가중치 추정 연구 보고서』, 2007
· 『2019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계획』, 부산광역시 북구 보건소
· 보건복지부, www.mohw.go.kr
· KOSIS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index/index.do
· 제 7기 지역보건의료 계획(2019년~2022년), 부산광역시 북구 보건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