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가장 기억에 남는 강화의 종류를 본인 사례 중심으로 설명하고, 그 당시 처한 상황에서 강화의 긍정적 기능과 부정적 기능으로 본인 행동을 분석하시오.(5주차 3차시)
- 최초 등록일
- 2022.06.23
- 최종 저작일
- 2022.06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교과목명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과제명>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이론 중 강화에 대한 설명이다. 강화(reinforcement)는 조작적 조건형성의 핵심 원리이며, 인간의 행동은 그 결과에 의해 통제된다. 강화의 종류 정적강화 및 부적강화가 있다.
① 정적(positive) 강화 : 즐거운 결과를 제공(스키너는 부적 강화보다 더 강조)
예) 아이가 바람직한 행동을 하면 원하는 것을 사주는 긍정적인 보상
-사회적 강화 : 칭찬, 미소, 토닥여주기 등(인간은 더 선호)
-물질적 강화 : 선물, 음식, 장난감 토큰 등
② 부적(negative) 강화 : 혐오스런 결과를 제거
예) 학교에서 바람직한 행동을 하면 화장실 청소를 면제
- 어떤 행동이 일어난 직후에 제거했을 때 행동 지속력이 높음
본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가장 기억에 남는 강화의 종류를 본인 사례 중심으로 설명하고, 그 당시 처한 상황에서 강화의 긍정적 기능과 부정적 기능으로 본인 행동을 분석하시오.(5주차 3차시)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1) 정적 강화
2) 부적 강화
2. 강화에 대한 경험
1) 강화의 긍정적 기능
2) 강화의 부정적 기능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반려견에 대한 인식이 낮고 정보를 공유를 할 수 있는 온라인 매체가 거의 없었을 때 반려견에 대한 교육의 방법으로 초크체인을 활용한 훈련법이 방송에 소개됨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것이라고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졌었다. 반려동물 가게에서도 초크체인을 쉽게 구입할 수 있기 때문에 방송을 보고 따라하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개에게 복종훈련을 시켜야 한다는 애견문화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일부 행동교정사는 반려견이 짖을 경우 큰 소리로 ‘안 돼’를 반복하면서 초크체인을 당겨서 반려견 목에 통증을 주어 짖지 못하게 하는 복종 훈련을 시켰다. 이를 통해 반려견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 이후에는 벌이 따른다는 사실을 알도록 하여 짖는 행동을 줄이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반려견에게 스트레스를 심하게 주어 주인과의 신뢰에 결국 금이 가게 된다. 체벌은 보호자와 오랜 시간 동안 쌓아왔던 신뢰를 한 번에 깨는 행동이다. 체벌을 받은 반려견은 스트레스로 인하여 배변이 불규칙해지며 심한 짖음과 탈모증상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참고 자료
김진영, 2010, 강화이론을 적용한 이러닝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p.6~7
반려견에게도 '체벌'은 독이다, 한준우, 뉴스1, 2016.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