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여성건강간호학 과목에서 '산욕기의 잘못된 피임방법'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했습니다.
이 과목 A 받았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잘못된 피임방법의 실태
2. 산욕기의 잘못된 피임방법이 여성의 신체, 사회,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3. 산욕기의 잘못된 피임방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간호중재 전략
4. 산욕기의 잘못된 피임방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제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산욕기는 분만 후 모체가 임신 전 상태로 회복하기까지의 6~8주 간으로, 태반 만출 후 2시간은 분만 제4기이며, 이 시기가 지난 후부터를 산욕기의 개시로 한다. 출산 후 부부는 대부분 성관계를 시도하며, 모유수유를 하는 경우 자연스럽게 피임이 된다며 별다른 피임법을 적용하지 않는 부부도 꽤 있다.
그러나 실제로 수유만으로 피임 효과를 가지려면 출산 후부터 거의 전적으로 모유만 먹여야 한다. 다시 말해 밤낮으로 아기가 원할 때마다 매 3~4시간마다 적어도 15분 이상씩 수유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모유수유가 이렇게 철저하게 지켜지는 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출산 후 모유수유만 하는 경우나 생리가 없는 경우라도 임신을 원하지 않는다면 출산 후 3개월째부터는 피임을 해야 하고, 모유수유와 함께 분유를 같이 사용하는 경우는 출산 후 3주째부터 피임에 신경 써야 한다. 하지만 피임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이런 사실을 잘 모른 채 부부관계를 지속해오다 산욕기 직후 덜컥 원하지 않은 임신을 하는 경우도 종종 생긴다.
따라서 간호사는 피임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계획하지 않은 임신을 하여 부부와 앞으로 태어날 태아까지 불행해지지 않도록 출산 직후 여성과 그의 남편에게 적절한 피임법 선택을 위한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음에서는 잘못된 피임방법의 실태와 산욕기의 잘못된 피임방법이 여성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산욕기의 잘못된 피임방법을 해결하기 위한 간호중재 전략과 정책 제안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성미혜 외 7인 공저, 『여성건강간호학Ⅰ』, 수문사, 2018, p.512~513
성미혜 외 7인 공저,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2018, p.279~298
김유진・김동희・박정하, 『피임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피임 지식, 피임 태도와 피임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246~255
이병호, 『낙태(인공임신중절) 실태와 쟁점』, 경기연구원, 2015, 1~2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2015
곽상아 기자, “살면서 꼭 필요한 '피임'에 대한 한국 정부의 놀라운 지원”, 허핑턴포스트코리아, 2017.01.13.
메디컬리포트, “"임신 14주까지 낙태 허용?" 합법화 되나..(+수술방법,후유증)”, 2020.10.06.
장인선 기자, “두렵고 어려운 피임? “처음부터 전문가 손 잡으면 안전합니다””, 헬스경향, 2020.11.13.
BBC 코리아, “임신: '출산 후 재임신, 최소 1년은 쉬어야'”, 2018.11.13.
네이버 지식백과, “산욕기” (간호학대사전, 1996. 3. 1., 대한간호학회)
네이버 지식백과, “수유 중 피임 - 모유 수유하면 임신이 안 된다?” (차병원 출산정보)
네이버 지식백과, “수유기간에 어떻게 난소에서 배란이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생리는…” (서울아산병원 건강칼럼)
대전서울여성병원, http://www.seoulmom.com/index.php?mc=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