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미생물학 과제인 '감염 미생물의 특성 및 동향'에서 결핵균에 대해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이 과목 A+ 받았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결핵균의 특성
2) 결핵의 진단
3) 결핵의 치료
4) 결핵의 예방
5) 결핵의 최근 동향
3.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결핵(tuberculosis, TB)은 인류와 함께 오랜 역사를 갖는 질병이다. 기원전 1000년경의 인도의 문헌에서 폐결핵에 관한 기록을 찾을 수 있으며, 석기시대, 고대 이집트, 페루의 미라는 결핵이 고대의 인간 질병이라는 증거를 제공한다.
결핵은 중세시대에서 르네상스기까지 가장 흔한 질병이었고, 중세시대 유럽인에게 공포였던 페스트(흑사병)와 비교해 “백색 페스트”라고 불렸다. 또한 사망의 매우 유력한 원인이었기 때문에 “Captain of the Men of Death”로도 불렸다.
폐결핵에 관한 연구는 17~18세기부터 시작되어 1882년에는 독일의 로버트 코흐(Robert Koch)에 의해 폐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이 발견되었다. 이 발견은 인류가 결핵으로부터 어느 정도 해방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해주었으며, 1943년 스트렙토마이신이 발견된 이후 선진국의 결핵 발생률은 급격히 감소했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 이후 결핵은 중대한 위협으로 다시 출현하였다. 세계적으로 매년 백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결핵으로 사망하고 있어서 항균제가 개발되어 감염병으로 사망하고 있는 사람이 감소하고 있는 오늘날에도 결핵은 인류에게 위협적인 존재이다. 선진국 중에서도 우리나라는 결핵 환자가 매우 많은 편이다.
위와 같이 결핵은 오래전부터 인류에게 꾸준히 치명적이었고, 항생제가 개발되며 의료적이나 사회․경제적으로 발전한 현재까지도 여전히 위협적인 질병이다.
이렇게 위험한 결핵의 역사라도 간략히 보니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지금까지 5년 정도 기숙사에 입소하기 위해 매 학기 초마다 귀찮더라도 버스를 타고 보건소에 가서 결핵 진단용 X-ray 사진을 찍어야 했던 이유를 어느 정도 알 것 같았다.
참고 자료
기초간호학회․대한미생물학회, 『간호미생물학』, 현문사, 2018, p119~123
김영재, 『기초부터 응용까지 최신미생물학』, 월드사이언스, 2017, p289~293
Madigan․Martinko․Bender․Buckley․Stahl, 오계헌 역, 『BROCK의 미생물학』, 바이오사이언스, 2016, p565
Marjorie Kelly Cowan, 양성렬 외 13인 역, 『병원미생물학』, 동화기술, 2015, p547~551
Masayuki Saijo, 김병극 외 8인 역, 『최신 심플 미생물학』, 대광의학, 2016, p284~288
Robert W. Bauman, 오계헌 외 4인 역, 『병원미생물학』, 바이오사이언스, 2015, p467~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