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Subject
2. Object
3. Introduction
<1> 효소 반응 속도론의 기초
<2> 효소 반응 속도론(Kinetics)
<3> 미카일리스 정수(Km)
<4> 속도상수의중요성
<5>효소의 반응 속도론의 예
<6> 효소의 반응속도에 요인을 주는 요인들
4.Reference
본문내용
3. Introduction
<1> 효소 반응 속도론의 기초
효소는 복잡한 생명현상을 가능케 하는 생물 촉매이다. 특정유전자에서 발현되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 생명활동의 근본이 되는 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의 급격한 생명과학의 발달은 새로운 단백질의 발견 및 각종 효소의 발견을 가능케 하였고, 각종 실험을 통해 이들 생체분자들의 활성정도를 측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것을 통해 생명현상의 원리를 차츰차츰 이해하기에 이르렀다. 더 나아가 이러한 생체고분자들을 공학적 원리를 도입하여, 공정등에 이용하고, 최적의 효소를 디자인하는 수준까지 다다랐다.
어떠한 효소를 발견했다고 할 때 그것의 활성정도를 이해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속도 상수값들로서 알 수 있다. 속도상수값들은 반응속도에 관한 정보 및 기질과의 친화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급증하는 생물학적 데이터 및 보다 정확한 생체분자의 활성정도측정에 관한 요구로 인해, 정확하고 간편한 속도상수계산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도 최근에 각광받는 단백질공학 분야에 있어서 높은 활성의 단백질을 디자인한다는 요구는 단백질의 구조연구뿐 아니라, 정확한 활성정도 측정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아미노산 서열이 활성정도에 미치는 과정을 모델화하기 위해서도 활성정도 측정의 정확함이 필요하다.
참고 자료
http://www.shingu.ac.kr/~dolchoi/lc_bc/bc4-1.html
http://myhome.thrunet.com/%7Eejlim/GenChem/chap15/chap15.htm
http://www.geocities.com/hotsprings/1028/ADCK/studio.htm
http://www.knou.ac.kr/~bhkim/note/5_7.htm
http://bioinfo.sarang.net/data/varenk/varenk.htm
효소반응속도론, 서정헌, 민음사, 2001
생물화학공학, 아이바 사이치, 동화기술, 1996
생화학계산법, 김창한, 하정욱, 유한문화사, 1993
생물화학공학, 장호남, 방한출판사, 1995
생물화학공학, 제2판, 장호남, 서진호, 아카데미서적, 2000
생물화공개론, 정봉우, 김춘영, 자유아카데미, 1997
생물화학공학, 정봉우, 김춘영, 신아출판사, 1998
실험생화학[개정3판], 한국생화학회 저, 탐구당,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