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연세대 교육학과 교수방법론 수업에 제출했던 보고서입니다.
참고문헌 제외 8p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다문화교육의 태동
Ⅲ.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의 동향과 과제
Ⅳ. 비판적 관점에서의 다문화교육
Ⅴ. 결론
본문내용
21세기 지구촌은 민주화, 세계화, 정보화 등의 여파로 인하여 서로 다른 문화, 배경, 인종을 가진 사람들이 접촉할 빈도가 그 어느 때보다 늘어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서로의 차이를 존중하는 태도가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한민국에는 다원성에 기반한 민주주의 체제가 자리잡게 되었으며, 세계화의 여파로 인해 많은 한국인들이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외국에 체류하거나 이민을 가기도 하고, 반대로 다양한 목적에 따라 외국인 체류자, 이민자들이 한국에 입국하게 되기도 하였다. 새로운 문화권을 접하게 된 사람들은 문화적 차이에 따른 오해, 정체성의 혼란, 심지어 인종차별을 당하기도 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내적, 외적 갈등을 겪으며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는데 있어 어려워하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다양성과 다문화 등에 대한 교육이 중요해지게 되었으나, 반드시 위와 같은 이유만으로 다문화교육이 필요한 것만은 아니다. 다문화교육은 다양성 교육의 일환에서, 서로 다른 사람들이 ‘공존’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교육이기도 하다. 세상과 완전히 단절하여 고립된 채 살아가는 사람은 거의 없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떤 방식으로든 타인과 관계를 맺고 살아간다. 한편, 주어진 환경과 경험의 차이로 인하여 모든 사람들은 제각각의 외양과 생각, 의견, 가치관을 지니기 때문에 사람들 사이에서 오해나 대립, 갈등이 일어나는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일이기도 하다. 그러한 충돌은 미시적으로는 개인들의 사소한 일상 속에서 빈번하게 나타나기도 하며, 거시적으로는 전쟁과 같은 극단적인 양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충돌은 개인을 성장시키기도 하지만 회복하기 어려운 상처를 남기는 경우도 있으며, 극단적으로는 가정과 사회, 국가를 불안정하게 만들거나 파괴하기도 한다. 결국 이러한 충돌을 최소화하고 서로 다른 사람들이 공존하기 위해서는 서로 간의 차이와 다양성을 존중하는 교육이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
참고 자료
강형윤. (2014). 비판적 다문화교육을 위한 실과 ‘나의 성장과 가족’ 단원 교수학습 자료 개발.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서울
김병곤. (2011). 유럽연합(EU)의 다문화 교육의 철학적 기반과 함의. 다문화사회연구.4(1). 35-53.
김이재. (2021). 한국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동남아 홀대 현상과 원인 분석 –국가주도 사회과 교육과정의 서구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 한국지리환경교육 학회지(구 지리환경교육), 29(2), 33-52.
김효선, 홍원표. (2016). 다문화교육 중점학교 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 및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 - 우수 학교를 중심으로 -. 교육과정평가연구, 19(1), 73-96.
박해인. (2018) 비판적 다문화교육을 위한 미술 수업 지도 방안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이수현. (2018). 비판적 다문화교육 관점에 따른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 국내석사학 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서울
정영애, 류영철. (2018). 다문화 정책학교의 다문화교육 접근법 분석: Banks의 다문화교 육 접근법을 중심으로. 다문화와 평화, 12(3), 206-227.
한진상, 홍원표. (2012).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의 관점을 통해 본 초등 다문화교육의 한계와 개선 방안. 초등교육연구, 25(3),
홍원표. (2008). 한국적 다문화 교육의 발전 방안 탐색: 미국 논의의 수용을 넘어서. 교육 원리연구, 13(2): 89-113
홍원표. (2010). 탈식민주의와 교육과정 연구: 다문화 시대의 새로운 인식론적 기반을 찾 아서. 교육과정연구, 28(1), 47-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