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골절 01
1. 정의 01
2. 종류 01
3. 증상 01
4. 진단 02
5. 치료 05
6. 간호 05
7. 합병증 01
II. 골절의 수술 08
1. 내부고정술 08
2. 외부고정술 09
본문내용
Ⅰ. 골절 (Fracture)
1. 정의
외부적 힘에 의해 골 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를 의미한다.
2. 종류
1) 골절편의 수에 따른 분류
① 단순골절(Simple Fx) : 한개의 골절선에 의해 두 개의 골절편이 생기는 경우 발생한다.
② 분쇄골절(Comminuted Fx) : 두 개 이상의 골절선에 의해 세 개 이상의 골절편이 발생하는 경우 발생한다.
③ 분절골절(Segmental Fx): 별도의 두 개의 완전 골절이 한 뼈안에 존재하는 경우 발생한다.
2) 골절선의 모양에 따른 분류
① Transverse Fx(횡골절) : 골절선이 뼈의 장축에 수직을 이루고, 각을 이루며 가하는 압력을 받았을 때 발생한다.
② Oblique Fx(사골절) : 선형골절의 한 형태로 뼈의 축에서 사선으로 각이 지게 골절로 비틀림 당했을 때 발생한다.
③ Spiral Fx(나선골절) : 골절이 뼈 둘레를 돌면서 나타나는 나선형의 골절을 말한다.
④ Longitudinal Fx(종상골절) : 골절선이 뼈의 장축에 수평이 된다.
3) 개방창 동반 여부에 따른 분류
① Open Fx(개방성 골절) : 골절이 연부 조직의 손상으로 피부 밖으로 뼈가 노출된 상태이다.
감염의 기회가 높아 치료 시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3. 증상
① 통증 : 근육경직, 연조직이나 근육손상으로 움직이거나 환부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더 심해진다.
② 정상 기능 상실과 비정상적인 움직임
③ 변형: 뼈 모양이나 위치가 변하여 각이 생기거나 회전 및 단축이 생긴다.
④ 부종: 골절 부위의 장액성 체액 증가와 출혈로 발생한다.
⑤ 감각손상
⑥ 근육 경련: 골절부 근육의 불수의적 수축으로 발생한다.
⑦ 쇼크: 심한 출혈 동반이나 연조직 손상이 심할 경우 발생한다.
4. 진단
증상을 기초로 단순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확진하고, 필요 시 CT등의 특수 검사를 시행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