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보건교육목표의 단계
1) 지식 (knowledge)
2) 이해 (comprehension)
3) 적용 (application)
4) 분석 (analysis)
5) 종합 (synthesis)
6) 평가 (evaluation)
6. 학교보건교육의 개념틀
1) PRECEDE 모델
본문내용
(1) 학교보건교육의 정의
① 보건교육이란, 개인이나 집단의 건강과 관계되는 지식, 태도, 행동에 영향을 미칠 목적
으로 학습경험을 제공해 주는 과정.
② 보건교육이란, 우리들이 알고 있는 건강에 대한 지식을 교육수단을 통해서 개인 또는
지역사회의 바람직한 행동으로 바꾸어 놓는 것 .
(2) 학교보건교육의 중요성
: 질병이나 사고를 예방하고 개인의 건강을 유지, 증진한다는 데 있어, 질병의 예방, 수명의 연장, 그리고 의료비 절감 등 여러 차원에서 그 중요성을 강조.
(3) 학교보건교육의 목표
① 개인 건강의 유지, 증진을 위하여, 건강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자신의 건 강은 자신이 지켜야 한다는 긍정적인 태도와 이를 실천과 행동으로 옮길 동기를 부여하 고 능력을 갖추도록 함.
② 자신이 알고 있는 건강지식과 이 지식을 실천하는 것과의 격차를 감소시키고 없애는 데 있다.
(4) 학교보건교육의 내용
: Robert Mager (1962)
① 학생의 행동 - 보건교육 목표는 교사가 아니라 학생이 행동하거나 나타내는 바를 진술한다. 보건교육의 목표가 학생중심이 아니라 교사가 수행해야 할 일을 기술하고 있다.
② 행동결과 진술 - 보건교육 목표는 학생 행동의 결과 혹은 행동 그 자체를 진술한다.
보건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기대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에이즈의 원인을 기술한다.’ ‘에이즈의 원인을 명명한다’
③ 행동의 상황 진술 - 보건교육 목표는 학생의 행동이 일어나는 조건이나 상황을 기술한다. 보건교육목표는 구체적행동을 기술하고 어떤방법에 의해 수행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상황진술도 해야한다.
‘혈압을 정확히 잰다’(X) '수은혈압계로 혈압을 정확히 잰다'(O)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