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에 대해 조사, 도리화가, 서편재
- 최초 등록일
- 2022.06.13
- 최종 저작일
- 2021.05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판소리에 대해 조사, 도리화가, 서편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판소리에 대해 조사(판소리의 뜻, 유래, 특징, 계파, 현대의 전승 상황 등)
1. 판소리의 뜻
3. 판소리의 특징
4. 판소리의 계파
5. 현대의 전승 상황
Ⅱ. 판소리 소재 영화 <서편제>(1993년)와 <도리화가>(2015년) 2편을 감상하고, 각 영화가 보여주는 한국적인 특성을 서술하며, 감상평을 쓰시오.
1. 영화 <서편제>
2. 영화 <도리화가>(2015년)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판소리에 대해 조사(판소리의 뜻, 유래, 특징, 계파, 현대의 전승 상황 등)
1. 판소리의 뜻
- 판소리(영어: Pansori)는 한 명의 소리꾼이 고수(북지는 사람)의 장단에 맞추어 장(소리), 아니리(말), 너름새 (몸짓-발림)을 섞어가며 구연(口演)하는 일종의 솔로 오페라다. '판소리'는 '팬과 '소라의 합성어로 ‘소리’는 '음악을 말하고 '판은 '여러 사람이 모인 곳' 또는 '상황과 장면을 뜻하는 것으로 '많은 청중들이 모인 놀이판에서 부르는 노래‘라는 뜻이다. 공연장에서 짧게는 세 시간, 길게는 여섯 시간 정도 걸리는 긴 이야기를 몸짓을 섞어가며 고수의 북 반주에 맞추니 노래하는 한국 전통음악의 하나이다. 일정한 극적 내용을 광대 혼자 육성과 몸짓의 창극조로 한국 향토의 선율을 토대로 여러 가지 장단에 따라 변화시켜 연행하는 것이다. 판소리는 당초에 소라라는 범징으로 불리었으며 타령, 잡가, 광대소리, 국극가(劇歌). 창극조(唱劇調) 등의 용어로도 통용되었다. 1964년 대한민국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었으 판소리의 문학적 조사(措辭) 내지 문자로 정착된 형태를 판소리 사설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음악적 용어로서의 판소리와 문학적 용어로서의 판소리 사설을 구별하여야 하겠지만, 시조(時調)처럼 이를 통용하여 '판소리'라 해도 무방할 것이다.
참고 자료
조동일, 「한국문학 통사 3」, 지식산업사
정병헌,「판소리의 발생과 전승 기반」 「한국학연구」, 국학자료원
정병헌, 「신재효 판소리 사설의 연구」, 평민사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을유문화사
http://www.dongchopusan.com/pansori1.htm
권영민, 네이버한국문학사전 - '문인/작품/단체/간행물/문학일반'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