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실험은 반도체 접합을 이용하는 태양전지와는 다른 유형의 태양전지인 나노결정 태양전지를 제작해보고, 실험을 통해 제작한 태양전지의 효율을 알아보고 이를 실리콘 태양전지의 효율과 비교하는 실험이었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T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반도체 나노 입자, 태양광흡수용염료, 전해질 전극등으로 구성된 전지이다. 우선 TiO2를 나노결정으로 만들기 위해 막자사발에 넣고 곱게 갈아주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염로 고분자(TiO2)는 단분자 층일 때 효율이 높기 때문에 염료 고분자가 코팅된 반도체, 즉 TiO2의 표면적이 넓을수록 효율이 커지기 때문이며, TiO2 분말을 갈 때 가루가 눈에 들어가거나 호흡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갈아주어야하고 가능하면 후드안에서 실험을 진행하는 것이 안전하다. 이후 아세트산을 조금씩 넣으면서 TiO2를 paste로 만들고 계면 활성제를 한방울 떨어뜨렸다.
여기서 계면활성제를 넣은 이유는 전지 내부로 입사되는 빛의 양을 증가시켜 태양전지의 단락 전류 및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넣어주게 된다.
참고자료
· 이공학도를 위한 물리화학/자유아카데미/R.chang and Jonh W, Toman, Jr 외 5명
· 물리화학 실험서/나노결정 태양전지의 제작
· 유기 태양전지의 연구개발 동향/이일형 외 3명/2017/[KIC]/p.51~55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