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문과 신해혁명에 대해 많은 자료를 읽고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주석이 20개 달려있는 레포트로 좋은 점수를 받았던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손문
(1)손문의 생애
(2)손문에 대한 평가
2.신해혁명
(1)역사적, 시대적 배경
- 서양 제국주의 속에서의 나약한 중국 , 淸
- 끊이지 않는 변화의 물결
- 신정의 폐단과 인민들의 반감
(2)중국혁명동맹회
(3)신해혁명의 불씨 - 무창봉기
(4)중화민국의 탄생
(5)원세개의 등장 - 군벌체제로 변모한 혁명
3. 신해혁명의 의의
(1)부르주아에 의한 혁명
(2)봉건주의에 대한 승리
(3)실패한 혁명
(4)사회주의로의 발전
4.삼민주의
5. 5.4운동
Ⅲ.결론
본문내용
손문의 정치사상은 삼민주의로 대표되는데, 그것은 태평천국(太平天國)의 혁명적 전통을 이어받고, 19세기의 자연과학(진화론)․프랑스의 혁명사상(인민주권설)과 영국의 사회학설(H.조지의 單稅論 등)을 받아들여 중국 현실에 맞게 적응시킨 것이었다. 만년에는 연소(聯蘇)․용공(容共)․농공부조(農工扶助)의 3대 정책으로 발전하였다. 그는 자본주의의 폐해를 미연에 막으려는 ꡐ자본절제ꡑ와 토지개혁을 내용으로 하는 ꡐ경자유전(耕者有田)ꡑ의 견해를 표명하여, 제국주의 단계의 후진국 혁명이론으로써 특권과 독점을 반대하는 삼민주의로 크게 발전시켰다. 1968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임시정부를 지원한 공으로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그는 수많은 좌절을 겪으면서 군벌 뒤에 제국주의가 있다는 것과, 인민들과 단결하여 반제(反帝)․반군벌 싸움을 벌여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러시아혁명을 본받아 국민당을 개조한 뒤, 공산당과 제휴(국공합작), 노동자․농민과의 결속을 꾀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다만 그는 죽음 직전까지 정확한 정치적 입장을 피력하지 않았기 때문에 국민당도 그를 추앙했다. 사망 당시 국민당이 장례를 준비했지만, 레닌이 그를 위해 관(棺)을 보내는 등 예우한 것만 봐도 그의 위상을 알 수 있다. 더욱이 그의 부인인 쑹칭링이 그가 사망후 국공합작을 이끌고, 항일전쟁을 선도한 후 공산중국의 성립후 역할이 지대해진데다 국민에게 덕망이 높아 중국에서 손문의 위상도 그 만큼 커졌다. 살아 생전에 손문은 별다른 영화를 누리지 못했지만 그는 죽어서 ꡐ중산능ꡑ이라는 절대 군주시대의 묘명(墓名)을 갖는 등 ꡐ중국 건국의 아버지ꡑ로 숭앙받았고, 앞으로도 계속 그러할 것이다.
참고자료
· Harold Z. Schiffrin,「孫文評傳」,지식산업사,1994.
· 堀川哲男,「孫文과 中國革命」,역민사,1983.
· 민두기,「辛亥革命」,민음사,1994.
· 박원호,「중국근현대사」,지식산업사,1988.
· 손문(孫文)「孫中山全集」,上海, 1933, 再版
· Y.C.Wang, Chinese Intellectuals and the West, 1872~1949 (Durham, N.C., 1966)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