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1p
연구사와 연구방법
Ⅱ. 본론
1. 수직 상승 이미지의 표현………………………2p
2. 부재한 공간의 의미 고찰………………………8p
1) 빈집, 빈방으로 대표되는 기형도의 詩
2) 신경숙의 「빈집」
Ⅲ. 결론…………………………………………………12p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본론
1. 수직 상승 이미지의 표현
김현은 기형도의 유년시절의 가난의 체험과 청년시절의 이별의 체험이 그의 시세계를 그로테스크 리얼리즘의 미학으로 승화되어 그만의 부정적이고 괴이한 이미지들로 표현되고 있다고 했다. 다시 그 부정성은 두 개의 출구(부정성을 더욱 밀고 나가거나, 긍정적 부정성으로의 환치)를 갖고 있었음에도 그 어느 쪽으로 가지 않고 갈림길에서 쓰러져 다시 일어나지 못했다고 한다. 김현 외에도 여러 논자들이 서로 다른 방법으로 기형도 시를 분석하고 있지만, 조금 넓은 범주로 묶어 보면 '기형도 시에 나타난 비극적 세계 인식의 원인 규명'이라는 한 목소리로 규정해 볼 수 있다. 이는 기형도 시의 가장 큰 특징으로 선명하게 떠오른 부분이므로 나름대로의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한 시인의 논의가 지나치게 특징적인 한 부분에 편향되어 있으며 그의 시세계를 전면적으로 구명하고, 그만이 지닌 미학을 완전하게 드러내는 데 결정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참고 자료
김현, 「영원히 닫힌 빈방의 체험」, 『입 속의 검은 잎』,문학과 지성사, 1989.
김경복,「유배된 자의 존재 시학」,『문학과 비평』,1991년 봄.
기형도, 『기형도 전집』, 문학과 지성사, 1999.
남진우,「숲으로 된 푸른 성벽」,『사랑을 읽고 나는 쓰네』, 솔, 1994.
문관규, 『기형도 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6.
박철화,「집 없는 자의 길찾기, 혹은 죽음」, 『문학과 사회』,1989년 가을.
성석제, 「기형도, 삶의 공간과 추억에 대한 경멸」,『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솔,1994.
이용호, 「폐허 속에서의 꿈꾸기」,『문학과 의식』34호, 1996년10월
임태우, 「죽음을 마주보는 자의 언어」,『작가세계』,1991년 가을.
장석주,「빈집의 시학」,『현대시세계』, 1992년 여름.
황인숙,「내가 아는 기형도」, 『현대시학』, 1989년 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