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대학의 기업화'라는 주제로 쓴 레포트입니다.
대학의 설립 목적과 기업화 실태를 위주로 대학의 기업화를 비판하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레포트 비중이 높은 과목에서 이 레포트를 제출하고 A 를 받았습니다.
목차
1. 들어가는 글
2. 대학의 기업화
1) 대학의 어원과 설립 목적
2) 대학의 기업화란?
3) 대학의 기업화 실태
3. 대학의 기업화와 취업 중심의 대학 교육의 문제점
4. 나오는 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2010년 3월 10일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3학년이던 김예슬은 교정에 자퇴를 선언하는 대자보를 붙이고 1인 시위를 했다. 소위 명문대라 불리는 고려대학교를 사회적 저항의 일종으로 자퇴하는 그녀에게 세간의 이목이 쏠렸다. 그녀는 선언문에서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중 략>
그녀는 선언문을 통해 대학이 기업을 위한 노동자 생산만을 교육의 목표로 삼음을 지적했다. 2022년, 김예슬 발언이 있고난 뒤로부터 12년이 지났다. 취업만을 중요시하는 대학 교육의 문제가 논의된 지 10년이 넘었음에도 여전히 대학 사회는 반성의 움직임을 보이지 않는다.
<중 략>
이 모든 상황을 고려했을 때, 취업 중심의 대학 교육과 대학의 기업화가 상호작용하며 취업 시장에서 몸집을 불려나간 것이란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하지만 대학이 영리만 추구하다 보면 진실된 학문 추구에 대해 가져야 할 사명을 도외시하게 될 것이다. 대학이 자본주의하에서만 움직인다면 틀에 박히지 않은 사고, 정해진 방향성 없는 연구, 사회 비판, 기초 연구가 설 자리는 없어질 것이다.
참고 자료
고부응, 『대학의 기업화』, 한울 아카데미, 2018, 131쪽.
김예슬, 『김예슬 선언 - 오늘 나는 대학을 그만둔다, 아니 거부한다』, 느린 걸음, 2010, 13쪽.
제니퍼 워시번, 김주연 역, 『대학 주식회사』, 후마니타스, 2011, 311쪽.
David J. keveles, 『The Physicists : The History of a Scientific Community in Modern Americ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5, p.268.
연은정, 이재혁, “고부응 중앙대 교수가 대학 기업화의 문제를 말한다”, 「노동자 연대」, 2020년 7월 22일.
지성배, “김진경 “5·31 교육개혁 패러다임 못 벗어나면, 교육·사회적 파국 맞을 것”, 「에듀인 뉴스」, 2019년 10월 23일.
진명선, “대학은 사회에서 어떤 기능을 해왔을까요”, 「한계레」, 2013년 11월 4일.
최영호, “[트렌드모니터] 본질이 훼손된 ‘대학’의 현실, ‘배움’은 사라지고 ‘취업’을 위한 관문으로 전락”, 「매드타임스」, 2019년 09월 13일.
https://processedsalad.tistory.com/23 (검색일: 2022년 01월 18일)
“대학”,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검색일: 2022년 01월 1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