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내막증 Endometriosis 케이스스터디입니다.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이고, 수정없이 한번에 통과한 케이스입니다.
간호진단이랑 간호과정이 수술 전, 수술 후 몇일째인지 등 시점이 확실하게 정리되어 있습니다.
계획도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으로 나뉘어져 상세하게 나와있습니다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자궁내막증 Endometriosis 케이스스터디입니다.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이고, 수정없이 한번에 통과한 케이스입니다.
간호진단이랑 간호과정이 수술 전, 수술 후 몇일째인지 등 시점이 확실하게 정리되어 있습니다.
계획도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으로 나뉘어져 상세하게 나와있습니다 :)
Ⅱ. 문헌고찰
1. 병태생리 ………………………………………………………………………‥ 4
2. 원인 ……………………………………………………………………………‥ 4
3. 증상 ……………………………………………………………………………‥ 5
4. 진단적 검사 …………………………………………………………………… 5
5. 치료 및 간호 …………………………………………………………………‥ 5
Ⅲ. 간호사례
1. 간호력 …………………………………………………………………………· 7
2. 신체사정 ………………………………………………………………………· 8
3. 진단적 검사 및 기타자료, 투약 …………………………………………… 9
4. 병의 경과 ……………………………………………………………………… 12
5. 간호과정 적용 ………………………………………………………………… 13
Ⅳ. 참고문헌 ……………………………………………………………………‥ 18
본문내용
2. 대상자 질환
대상자는 만 31세 여성으로, 구미 OOO산부인과 검진 시 난소혹을 발견하여 본원 외래 진료 후 수술을 위해 입원한 환자이다. 대상자는 Endometriosis를 진단받았고, 7/27일 LSC BOC를 진행할 예정이다. 대상자는 질병과 수술로 인해 불임의 가능성에 불안을 느끼고 있고, 지병으로 Behcet’s disease을 앓고 있다.
Ⅱ. 문헌고찰
1) 병태생리
자궁내막증(endometriosis)는 성장, 증식 및 출혈 등과 같은 기능이 있는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외 부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호발 부위는 골반장기와 복막이다. 그중 난소에 가장 흔히 발생하며, 자궁 인대(원인대, 광인대, 자궁천골인대), 직장 및 질중격, 자궁, 난관, 직장, S자상 결장 또는 방광을 덮고 있는 골반의 복막, 제와부, 복부절개 반흔부, 탈장낭, 충수돌기, 외음부, 자궁경부, 난관 기시부, 림프절 등에 발생한다. 아주 드물게 팔, 대퇴, 흉막, 심외막강 등에 발생한 경우가 있다.
자궁내막증은 초경 이전에는 발견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자궁내막의 성장과 발달이 에스트로겐의 자극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75%가 25-40세 사이의 가임기에 오며, 첫 진단 시 평균 연령은 27세, 진단 전의 평균 유병기간은 2-5년이다.
자궁내막증의 육안적 소견은 발견된 부위와 경과 기간에 따라 다양하다. 개복하여 골반장기를 노출시키면 골반의 한쪽 또는 양족에 작은 유착성 종괴가 발견되는데 흔히 자궁후부 아래쪽으로 깊숙하게 유착되어 있다. 유착된 부분을 완화시키면 초콜릿색 또는 진한 녹물 같은 액체가 나올 수 있다. 난소는 흔히 안쪽으로 적혈색 낭종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낭종의 직경은 대개 1cm정도로 작으며, 포도알보다 큰 경우는 거의 없다. 난관은 한쪽 또는 양쪽 자궁천골인대 안에 암청색의 약간 주름지고 수많은 출혈 부위가 있는 복막 유착으로 둘러싸여 있지만 일반적으로 정상이며, 난관채 끝은 뚫려있다. 이러한 양상들은 자궁내막증이 발생한
참고자료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www.hira.or.kr
· 문정범 외 5) 자궁내막증의 임상적 고찰. Vol. 49 No.11 November 2006.
· 메디컬투데이) 올해 신생아 8명 중 1명, ‘난임 시술’로 태어나
·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425102
· 손정태 외 공저) 기본간호학1. 현문사
· 손정태 외 공저) 기본간호학2. 현문사
· 약학정보원) www.health.kr
·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1 제9판. 수문사
·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2 제9판. 수문사
· 통계청) https://kostat.go.kr/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