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선근증case
- 최초 등록일
- 2022.05.23
- 최종 저작일
- 2019.09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자궁선근증cas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과정
3.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불임은 피임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성생활을 하면서도 1년 이내에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최근에는 불임이란 말이 부정적 표현이라 하여 난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불임은 원발성과 속발성 불임으로 나누고, 과거 한 번도 임신을 해본 적이 없는 경우를 원발성, 임신경험이 있는 부부가 유산 또는 분만 후 무월경 기간이 끝난 뒤 만 1년이 지나도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를 속발성 불임증이라 한다. 불임의 주요 원인으로는 남성인자, 배란인자, 난관 및 골반 인자, 자궁 경부인자, 기타 요인등이 있으며, 여성 불임의 원인으로는 배란인자, 난관 및 복막인자, 자궁 경부 인자, 자궁인자, 면역학적 원인, 감염 또는 원인불명 등이 있다. 자궁선근증이 불임을 일으키는 기전은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여러 가지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자궁근종 특히 자궁내막증과 선근증이 있을 경우 임신이 잘 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연구에 의하면 통계적 유의성은 없지만 자궁내막증 또는 자궁선근증에 의한 불임 환자에서 3개월 이상 장기간의 GnRH analogue(LTDR) 사용 후 체외수정 임신율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고 한다. 요즘 임신은 예전에 비해 하기가 어렵다고 주변에서 줄곧 듣곤 했다. 난임이 많아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임신이 잘 되지 않는 경우인 자궁선근증에 대해 좀 더 연구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이정임, 남은영, 김형준, 이동녕 (2015). 자궁근종 및 자궁선근증을 동반한 불임환자 증례보고. J Korean Obstet Gyenecol 2015; 28(1): 158-166
“자궁선근증”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591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