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동의 난민사태에 대한 고찰-예멘, 시리아 난민을 중심으로"에 대한 내용입니다.
중간, 기말고사 없이 보고서 작성과 발표로만 이루어지는 수업이었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난민의 의미
2) 시리아 난민에 대해
3) 예멘 난민에 대해
4) 중동지역 난민과 대한민국 사회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지난 해 제주도에는 500명이 넘는 난민들이 제주도로 입국하고 난민 신청을 한 사건은 ‘제주 예멘 난민 사태’라고 불릴 정도로 우리 사회에서 큰 이슈였다. 이들이 입국하는 과정에서 내국인 브로커가 영향을 끼친다는 논란이 일고, 난민이 일으키는 사회적 문제와, 예멘 난민들이 난민법을 악용한다는 주장을 통해 난민에 대한 부정적 의견을 표출하는 여론이 있었고, 인도주의의 차원에서 난민의 수용을 무조건 부정적으로만 바라보지 말자는 여론 역시 존재해 이들 간의 의견 차이가 첨예하게 대립했다. 이처럼 먼 나라 얘기 같았던 난민이 우리나라에도 들어오며 난민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게 되었다.
그렇다면 난민은 어떻게 생기고, 어떤 이유로 특정 국가들로 이주하는 것일까. 특히나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예멘 난민은 중동지역의 난민으로, 같은 지역 전쟁난민인 시리아 난민이 있지만 그들의 이동 양상은 서로 다르다. 국가는 국경을 사이에 두고 자신들의 영역을 지키려 하고, 국제 사회에서의 영향력을 위해 다른 나라와 동맹을 맺거나 대립하기 때문에 난민의 이동에는 국가들 간 이해관계가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렇기에 난민의 문제는, 단편적으로 바라보아야 할 것이 아니라 국가 간, 국가 내의 갈등으로 인해 쫓겨난 사람들과 그 사람들의 이동에서 볼 수 있는 국가들의 관계, 국경 구조 등을 파악해 다각도로 살필 수 있어야 한다.
본 보고서에서는 예멘 난민과 시리아 난민을 중심으로 난민이 생기는 이유와 난민의 이동을 살필 것이고, 국가 간 정치 지리적 이해관계에 따른 난민의 이동 양상 차이에 대해 서술하여 현대 사회에서 난민이 갖는 정치 지리적 시사점에 대해 서술할 것이다.
2. 본론
1) 난민의 의미
1951년 난민의 지위에 관한 국제 협약에 따르면 난민은 ‘인종, 종교, 국적 또는 특정 사회집단의 구성원 신분 또는 정치적 견해 등을 이유로 박해를 받을 우려가 있다는 충분한 근거 있는 공포로 인하여..
<중 략>
참고 자료
pmg 지식엔진연구소, 1951년 난민의 지위에 관한 국제 협약,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안온조, 2015, 시리아 내전과 국제사회의 이해관계,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혜경, 2016, ‘아랍의 봄’ 이후 시리아 난민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상호, 2016, 글로벌 사회정책 브리프
한국국방연구원, 2018, 예멘 내전
김중관, 2019, 예멘 사태의 지리⦁정치적 구도와 난민 문제의 거버넌스, 국제지역연구 제23권 제3호
한겨레, 조효제, 2015, ‘우리 모두 난민의 후예’
허정원, EU, 2018, 터키에 4조원 쥐어주며 추악한 난민 뒷거래 벌였다, 중앙일보
이태욱, 2018, 예멘 난민은 왜 멀리 한국으로 오는가?, MC PLUS
정용상, ‘한국의 난민 보호제도’, 대학원신문, 2016.05.31.
박태근, ‘시리아 난민 200명 국내 입국, 135명 체류허가...나머지는 공항서 심사대기 중, 동아일보, 2015.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