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제도가 시대별로 변화했던 흐름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과거제도가 전체적으로 어떤 방향으로 발전했는지 알 수 있기 때문에 특징적인 변화위주로 발전방향을 살펴보고자한다. 과거제도는 광종9년(958)에 후주에서 귀화한 쌍기의 건의로 처음 시행되었다.958년에 처음 시행된 과거는 1894년 갑오개혁으로 폐지될 때까지 936년이나 존속된 한국 전통사회의 대표적인 인재선발 제도이다. 다음으로 과거제도의 종류의 변화를 살펴보면, 우선 과거는 크게 네 종류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는 문관을 선발하는 제술업과 명경업이다. 그중 제술업의 시험과목은 광종9년 첫 과거에서 시·부·송 및 시무책을 시험한 이후 여러 차례의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었다.
1)성종2년(983)에는 송을 없애고 시·부와 시무책으로만 시험하였다가 논이 추가되었다.
2)예종5년(1110)에는 논을 없애고 시·부·책으로 시험하였다.
3)인종5년(1127)에는 다시 논을 추가하여 시·부·논으로 시험하였다.
4)인종14년(1136)에는 경의와 시·부로 시험하였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