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보시면 아시겠지만 내용 진짜 자세하고 직접 도서관에서 관련서적 빌려가면서 직접 정리한 내용이에요! 과제하실때 진짜 유용하실거예요!
목차
Ⅰ. 비외상성 중추신경계 응급질환
1. 혼수 환자의 처치
2. 간질 발작 환자의 사정
3. 경련 발작 환자의 처치
4. 경련 중적 상태의 처치
5. 뇌졸중의 처치
Ⅱ. 외상성 신경계 응급질환
1. 두부외상의 처치
2. 두개골 골절 환자의 처치
Ⅲ. 중추신경계의 감염성 질환
1. 뇌막염
2. 뇌농양
3. 바이러스성 감염
Ⅳ. 퇴행성 질환
1. 다발성 경화증
본문내용
1. 혼수(coma)환자의 처치
혼수환자의 처치는 다음 순서와 같이 시행한다.
- 기도 확보와 비강, 구강의 기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기관삽관을 실시하며 이때 경부척수의 외상이 의심되면 두부를 중립으로 유지한다. 절대로 경부를 굴절시키거나 신전시키지 않도록 한다.
- 필요한 경우에는 기계적 환기를 한다.
- 목 부분의 손상이 의심되면 경부를 고정한다.
- 5% 포도당액 또는 생리식염수를 정맥주입하면서 정맥주입로를 확보한다.
- 혈당검사를 위한 채혈을 한다. 혈당검사를 위한 시약조각 검사를 실시한다.
- 포도당 25mg을 주입한다. 이때 주의할 점으로는 포도당 주입 전 혈당검사를 위한 채혈을 실시한 후 포도당을 주입하며 체중 1kg당 1cc를 IV한다.
- 마약 과복용으로 인한 혼수환자는 마약의 길항적 작용을 하는 naloxone 주입을 시행하며, 성인은 0.8mg을 IV하고 반응이 없으면 2~3분 후 2~3배 용량을 반복 주사한다.
- Valium이나 Ativan과 같은 진정제의 과복용에는 Flumazenil을 투여한다.
- 알코올 중독이 의심되는 환자에게는 비타민 B1 100mg을 IV하거나 가능하면 근육주사한다. 만성 알코올 중독의 합병증으로 나타나는 Wernickes 뇌증 또는 Korsakoff’s 증후군은 지남력상실, 섬망, 불면, 환청, 환시, 중얼중얼 소리를 내거나 하지의 통증 등을 가져오는 정신병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