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위의 상황에서 무엇이 문제인가?
2. 위 상황이 한국간호사 윤리강령의 어떤 항목과 연관이 있는가?
3. 내가 직면한 상황이라면 윤리적으로 어떻게 해결하겠는가?
4. 위 방법을 제시한 이유는 무엇인가?
5. 임상실습 중에 관찰하거나 경험한 윤리적 갈등이 있는가?
본문내용
1. 위의 상황에서 무엇이 문제인가?
B환자의 보호자인 아빠가 남은 병원비를 낼 능력이 없어 아이를 포기하겠다며 모든 치료를 중단할 것을 요구하였다.
2. 위 상황이 한국간호사 윤리강령의 어떤 항목과 연관이 있는가?
5. 취약한 대상자 보호
현재 B환자는 선천성 심장질환으로 첫 번째 수술을 받고 인공호흡기 weaning이 안 되고 있다. 이에 치료비가 부담되었던 보호자가 아이를 포기하고, 남은 치료를 중단하기를 요구한 취약한 환경에 놓여있다. 간호사 윤리강령에 따르면 간호사는 취약한 환경에 처해 있는 간호대상자들이 의료 자원의 분배나 진료 등에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그들의 권익을 대변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취약한 환경에 처한 간호대상자를 보호하고 돌본다는 본 윤리강령과 관련 있다.
11, 안전한 간호 제공
병원비 문제로 환자의 인공호흡기를 제거한다면 아이의 안전이 위협받는 상황이 발생한다. 간호사 윤리지침에 따르면 간호사는 가족의 의사결정이 윤리적으로 정당하지 못하거나 간호대상자에게 불이익을 초래한다고 판단될 경우 간호대상자의 편에 서서 권익을 옹호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간호의 전 과정에서 인간의 존엄과 가치, 개인의 안전을 우선하여야 하며,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본 윤리강령과 관련 있다.
14. 대상자 보호
인공호흡기 weaning이 안되는 상태에서 모든 치료를 중단한다면 이로 인해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건강과 안전이 위협받지 않도록 보호 할 책임이 있으므로 본 윤리강령과 관련 있다.
3. 내가 직면한 상황이라면 윤리적으로 어떻게 해결하겠는가?
퇴원을 한다면 아동이 자가 호흡이 되지 않기 때문에 긴급한 상황이 올 수 있음을 보호자에게 알린다. 또, 정서적으로 힘든 보호자를 위해서 대상자가 가진 병의 예후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와 함께 긍정적인 결과를 낸 유사한 사례를 알려주어 정서적 지지를 제공할 것 같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