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건강증진모형을 이용한 지역사회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보고서입니다.
프로그램 제공, 효과 측정 등 과정에 있어 다양한 도구들을 사용하였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본론
1) 프로그램 개발의 목적
2) 프로그램 참여대상
3) 프로그램의 구성
4) 프로그램 적용 효과
Ⅲ. 결론
1) 강점
2) 약점
3) 느낀 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인구 구성비는 2017년 13.8%로 조사되었으며, 장례인구추계에서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구성비가 2060년 43.9%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통계청, 2019) 이처럼 급격한 노인인구의 증가는 더 이상 가정 내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고, 노인인구의 건강 또한 함께 고려할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노인의 80% 이상에서 만성질환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노인 1인당 네 가지의 만성 질환을 갖고 있다고 한다.(박혜숙, 2020) 이러한 노인들의 만성질환은 그들의 일상생활 수행을 어렵게 하며, 경제적인 부담, 사회활동의 제한, 외로움, 부양가족의 부담까지 안기기 때문에 국가적 차원의 관리를 필요로 하고 있다. 특히, 노인은 은퇴와 배우자 상실을 비롯한 여러 가지 스트레스에 취약하며, 경제능력 상실을 힘들어하고 이로 인해 자존감 상실 또는 소외를 경험한다. 또한 스트레스가 노화에 따른 신체능력 저하와 맞물려 병을 유발할 가능성이 다른 어떤 연령층보다 높기에(김기웅, 1999), 노인의 건강한 삶을 위해 지역사회에서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하고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노인 집단 중에서도 독거노인들은 일반 노인에 비해 부정적인 생활 사건(가족의 죽음, 실직, 질병, 빈곤)을 더 경험하게 되는데 반해서 이에 대처할 대처자원은 다른 노인에 비해 부족하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할 확률이 높다는 점에서 독거노인들의 스트레스에 관심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장영은, 김신열, 2015)
본 프로그램에서는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를 통한 건강증진을 도모하고자 지역 내 대학생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일부 고안하였다. 지역 내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협력으로, 현재 시스템 상 관련 전문 인력 부족이라는 현실적인 여건을 보완할 수 있으며, 지역사회 대학의 측면에서는 미래를 위한 대학생 스스로의 역량 신장 기회가 될 수 있다.
참고 자료
통계청(2019),「장래인구특별추계: 2017~2067년」 中 중위추계 결과
박혜숙 外 19인, (2020), 새로 쓴 병리학, 수문사, p174
김기웅. (1999). 스트레스와 운동과 노인건강. 한국학교체육학회지, 9(0), 23-32.
장영은, 김신열. (2015). 독거노인의 사회자본과 스트레스. 인문사회 21, 6(3), 441-464.
파이낸셜뉴스(2020), 「전남도, 독거노인 돌봄 강화」
김영선, 전성숙. (2009). 노인에 대한 일회성 웃음요법이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18(3), 269-277.
왕명자. (2010).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자기 효능감, 신체활동 및 인지기능의 관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1(1), 101-109.
최연희, 김나영. (2013). 지역 주민 건강리더를 활용한 자조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체력, 인지기능,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4(3), 346-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