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골절은 여러 상황에서 쉽게 발생할 수 있고, 종류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7병동 입원 환자 중 골절 환자가 가장 많으며, 최근 겨울철이 되면서 빙판길에서 넘어지는 사고가 많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노인이나 어린이, 폐경기 후 여성은 뼈가 약하기 때문에 골절의 위험성이 더 커진다. 실습을 하는동안 골절 환자들에게 더 정확하고 많은 정보를 전달하고 더 나은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골절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고 판단했다. 많은 골절 환자 중 이 대상자를 선택한 이유는 실습을 시작하고 처음 간호사 선생님들과 함께 직접 받은 입원 환자로 입원 순간부터 환자를 관찰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이 환자는 치료 비용에 대해 많은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는데 병동 환자들 중 가장 많이 소통하고 교감한 분이었다. 환자분의 말을 들어드리며, 토닥여드리니 한결 나아졌다며 고맙다는 인사를 해주셨는데 환자분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어드릴 수 있어서 뿌듯했고 가장 기억에 남는 환자였다.
Ⅱ. 문헌고찰
1. 정의
골절은 강한 외력이 작용하여 뼈나 골단판 또는 관절면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이다. 정형외과학에서 가장 흔히 보이는 질환 중 하나이며, 제대로 치료가 되지 않았거나 골절의 종류가 좋지 않은 경우 환자에게 큰 후유증을 남길 수 있어 중요한 질병이다. 골절은 긴뼈의 부위별 명칭에 따라, 연속성의 손상 정도에 따라, 골절편의 수에 따라, 골절이 일어난 방향에 따라서 등과 같이 여러 가지 기준으로 나눌 수 있다. 골절은 긴뼈의 부위별 명칭에 따라 뼈몸통에서 발생한 골절, 뼈끝에서 발생한 골절, 뼈몸통에서 발생한 골절로 나눌 수 있다. 골절이 양측 겉질뼈의 연속성을 완전히 소실시키는 경우를 완전골절이라고 하며, 한쪽 겉질뼈의 연속성을 파괴시키는 경우를 불완전골절이라고 한다. 골절편의 수에 따라서는 한 개의 골절선에 의해 두 개의 골절편이 생기는 단순골절골절과 두 개 이상의 골절선에 의해 세 개 이상의 골절편이 생기는 분쇄골절이 있다. 골절이 일어난 방향에 따라 횡상, 사상, 나선상, 종상 골절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