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 신자유주의와 가족 …
(1) 신자유주의
(2) 가족의 위기
2. <아빠 어디가>프로그램 분석
2-1. 프로그램 형식측면에서
(1) 등장인물
(2) 전개구조
2-2. 프로그램 내용측면에서
(1) 인물간의 갈등과 해결
(2) 유대감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21세기는 이미지와 영상의 시대이다. 영상은 현대사회에서 커다란 영향력과 잠재력을 소유하고 있음으로 인해 사회적, 문화적 가치가 더욱 높아져가고 있으며, 수용자에 대한 친밀성과 효율성으로 대중문화를 주도해왔다. 특히 텔레비전과 같은 대중영상매체는 사회전반에 대한 정보의 통로로서 대중의 여론을 형성하고, 유행을 발생, 전파시키기도 하며,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통해 일상 속에서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방법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면서 다양한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기술 발달로 인한 수용환경의 변화로 더욱 폭넓어진 영상의 보급으로 인해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사회에 대한 장악력은 더욱 커졌다. 인기 있는 프로그램은 수많은 수용자들의 공감대를 형성시키고, 새로운 신드롬과 유행어 등을 파생시킨다. 수용자들은 또한 적극적이고 참여적으로 영상의 일부를 SNS를 통해 보급하면서 더욱 많은 시청자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인기 있는 프로그램 중 하나인 <아빠 어디가>를 분석하고 그 프로그램의 등장 배경과 인기의 이유를 사회적인 맥락 속에서 알아보고자 한다.
1. 연구 대상
<아빠 어디가>는 MBC의 예능 프로그램으로 기존 3-5%대에 머물렀던 저조한 시청률을 단숨에 15%대로 끌어올렸고 현재 동시간대 최고 시청률을 얻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아빠란 무엇인가?’라는 화두로 시작해 대한민국 보통의 아빠들을 주목하고 이 시대에 바람직한 아빠상을 살펴보려 한다. 5명의 아빠들의 직업은 아나운서, 가수, 배우, 축구선수 등인데 이들의 사회적인 위치와 역할보다는 한 아이의 아빠라는 위치가 가장 중요시된다. 이들은 각자 자신의 아이와 여행을 떠나는데 프로그램은 엄마 없이 떠나는 48시간의 여행을 고스란히 카메라에 담는다.
아이들은 6~9세의 나이로 구성되어 있고 그 나이 대에 볼 수 있는 순수함과 엉뚱함을 보여준다. 카메라를 의식하지 않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여과 없이 표현하는 아이들의 꾸밈없는 모습은 <아빠 어디가>의 무기라고 평가 받는다.
참고 자료
기틴스, 다이애나, 1997, 「가족은 없다」, 일신사
김삼환, 2008, “예능프로그램의 포맷과 스토리텔링 연구 : MBC <무릎팍 도사>의 형식과 내용을 중심으로”,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91-113.
김완중, 2002, “내적 치유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진욱, 2007, “윌리엄 블레이크의 아이의 순수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태일 외, 1998, 「IMF 시대 중산층의 생활과 의식변화」, 현대경제연구원
백진아, 2001, “경제위기에 따른 가족생활의 변화와 가족주의”, 「사회발전연구」, 7:27-50
송갑선, 2001, “현대 기독교의 치유개념 연구-성령의 보헤사적 사역”, 한세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수진, 1999, “한국의 사회변동과 가족주의 전통”, 「한국가족관계학회」, 4:165-192.
안호용·김홍주, 2000, “한국 가족변화의 사회적 의미”, 「한국사회」, 3:89-132.
윌리엄 블레이크, 2000,「순수의 노래 경험의 노래」, 혜원.
이영·조연순, 1997,「아동의 세계」, 양서원.
이영자, 2006, “남성부양자모델과 여성빈곤”, 「성평등연구」, 10:83-115.
장혜경 외, 1999, 「실업에 따른 가족생활 및 여성의 역할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전병재 외, 1997, 「한국가족의 위기」, 하나의학사.
정자환, 2001, “신자유주의와 한국의 여성노동: 세계화냐 가족이냐의 양자택일의 기로에 선 인류”,「성평등연구」, 5:51-76.
정진·백혜리, 2001, “조선후기 풍속화를 통해 본 아동인식”, 아동학회지, 22:109-124.
정진은, “윌리엄 블레이크의 초기시 연구:「순수와 경험의 노래」”,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문현·박현주, 2005, “TV광고에 나타난 어린이의 이미지 분석”,「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4:21-39.
트레이스, 2013, “치유권하는 사회”, 「인천문화재단」, 37:116-119.
하윤금, 2005, 「포맷 거래의 세계적인 현황」,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함인회, 1999,. “IMF 위기와 중산층 해체 논의의 비판적 고찰”,「사회과학연구 논총」, 3:47-68.
황혜경, 2007, “단학적 의미의 힐링에 대한 연구”, 국제평화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