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술실 간호
1)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2) 무균술
3) 마취 종류 및 방법
4) 수술기구
2. 회복실간호
1) 회복실 기구 및 물품
2) 회복실로의 환자이송
3) 회복실 환자 사정 & 간호중재
본문내용
3. 마취 종류 및 방법
General anesthesia : 전신마취
- 중추신경계통을 억압시키는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무통, 기억상실, 무의식이 되며 제반사와 근 긴장도를 상실시키는 특징이 있다.
- 전신마취는 흡입 또는 정맥용 마취주사, 두 가지 방법의 병용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유도전단계, 유도단계, 유지단계 및 회복단계 4단계로 구성된다.
① 유도전단계 : 환자가 수술방으로 옮겨진 직후부터 마취유도 직전까지
② 유도단계 : 마취제 투여에서부터 환자의 기관내 삽관과 환자의 안정까지
③ 유도기 : 환자가 안전하게 수면을 취하도록 하고, 기도개방과 충분한 환기 유지
④ 유지단계 : 안정되고 수술이 거의 끝날 무렵 마취에서 회복되기 시작할 때 까지
Intravenous anesthesia : 정맥마취
- 환자의 거부감이 적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정맥마취제는 전신마취의 유도제로, 짧은 수술에서는 단독마취제로, 전신마취나 부위마취의 보조제로, 또는 진정 목적
⦁ 장점 : 마취 유도가 신속, 수술 후 오심·구토 少
⦁ 단점 : 얕은 마취로 인한 후도경련과 기관지 경련이 있을 수 있으며, 뇌에 있는 혈관운동 신경중추를 억제시키므로 저혈압이 생길 수 있고, 과량의 약물투여로 인한 호흡정지가 있을 수 있음. 또한 급성 심정지 유발가능.
⦁ 주요약물
- 수면제 : 중추신경계에 직접 작용하여 진정 및 수면을 유도
- 마약성 진통제 : 통증을 제거
- 근육이완제(신경근 차단제) : 기관내삽관을 용이하게 함, 조직의 외상을 감소시킴, 후두경련 예방, 마취 중 충분한 r근육이완을 일으켜 수술을 용이하게 함, 필요한 전신마취제의 용량을 감소시킴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